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깔린 컴퓨터로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유토피아가
열
릴 것이다. 진보는 계속 되는 것이니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다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04. 디지털의 화려한 ... ...
털날개를 가진 씨앗의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예전에는 이
열
매를 따서 먹기도 했답니다. 봄철로 들어설 무렵이 되면 다 익은
열
매가 벌어지면서 하얀 털을 가진 씨앗들이 쏟아져 나와 날아가기 시작합니다. 씨앗이 바람의 도움을 받아 멀리 여행하면서 새로운 장소에 사뿐히 내려앉습니다. 새로운 생명이 시작되는 것이지요. 봄은 이렇게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암산 실력을 수학의 전부로 오인하게 만들 수 있다고 우려한다. 많은 교사들은 19단
열
풍의 뒤에는 암산을 통해 자신의 아이가 1등이 되고 다른 집 아이보다 우월해지는 것을 보고 싶어 하는 욕심이 있다고 강조했다. 주 교사는 “계산력이 강조되면 사고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학생들이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느낄 수는 있다”고 했다.겨울연가자기 이름까지 잊어버릴 수 있을까일본에서 용사마
열
풍을 일으킨 드라마 ‘겨울연가’에서 남자 주인공(배용준)과 여자 주인공(최지우)은 고교 시절 사랑에 빠진다. 성인이 돼서 다시 만나는데 남자는 여자를 알아보지 못한다. 심지어 자신의 예전 이름도 기억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형성층이 고온에 쉽게 파괴되므로 타지 않았더라도 점점 말라죽는다. 잎에 물기가 많아
열
차단 효과가 큰 나무도 잘 타지 않는다. 또 침엽수보다는 활엽수가 불에 잘 견딘다. 참나무류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는 이런 모든 성질을 가진 대표적인 나무다.“우리나라 산에 많은 소나무는 송진을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런 다음 유리관에 1인치 가량의 공기를 넣은 채 밀랍으로 봉했다. 이 유리관에
열
을 가하면 공기가 팽창하면서 밀랍이 밀려나는데 공기가 팽창한 상태에서 냉각시켜 밀랍을 굳히면 유리관 안의 공기 밀도는 낮아진다.이런 방법으로 유리관 안의 공기 부피를 2배로 늘렸더니 공기의 압력이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해서 뇌는 받아들인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낸다. 하나를 가르치면
열
을 아는 것,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덕분이다.그런데 기억 네트워크가 항상 올바른 방향으로 재구성되는 건 아니다. 어떤 사람이 살인현장을 목격했다고 하자. 그는 살인자가 사용한 무기만 봤고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무늬가 날씬해 보이는 이유착시현상을 실생활에 응용한 대표적인 예가 의복의 선 배
열
에 따른 착각현상이다. 옷의 선은 시선을 끄는 힘을 갖고 있어 우리 형체를 실제보다 더 크거나 작게, 또는 뚱뚱하거나 마르게 보이게 한다. 즉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예를 들어 수직선은 시선을 끌어내려 ... ...
추운 겨울을 이겨 낸 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노루귀와 앉은부채는 3월 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답니다.복수초와 앉은부채는 스스로
열
을 내서 주변 눈을 녹일 정도라고 해요. 하얀 눈 속에 아름답게 핀 꽃을 보면 그 씩씩함에 대견하기까지 하답니다. 이름도 너무 신기해‘복수초’란 이름을 처음 들으면 무시무시한 복수의 전설을 떠올리는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킹조지 섬에 1988년 2월 17일 세종기지를 건설함으로써 남극에 상주기지를 세운
열
여덟 번째 나라가 되었답니다. 상주기지란 일 년 내내 사람이거주하는 기지를 말해요.세종기지에서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어요. 지질학자들은 지층과 광물을 연구하고 대기과학자들은 오존을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