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요새 빅데이터라는 말과도 통합니다.Q 졸업 후 진로는 어떤가요?A 전자회사, 자동차, 정보통신, 금융 등 산업 전반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특히 CEO처럼 핵심 역할을 하는 분들 중 산업공학과 출신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자동차의 정몽구 회장, SK텔레콤의 김신배 사장, 애플의 CEO 팀 쿡이 모두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 시스템이 전체 드론의 위치를 인식 해 중앙컴퓨터에 전송하면, 컴퓨터가 그 정보를 바탕으 로 각 드론에 ‘자세를 제어하라’ ‘옆으로 얼만큼 가라’ 등 의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공 박사는 그 자리에서 바로 드론 군무를 보여주겠다 고 했다. 연구원들이 드론 9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놓았 다.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자리를 내놓고 2인자로 물러날 것이다. 하지만 대신 캄브리아기 폭발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위대한 발견이 될 것이다. 이것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생물학, 과학의 재미기도 하다.삼엽충 이후로 지구에는 눈을 가진 다양한 생물들이 등장해 지금의 복잡한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얽힘을 제대로 나타내기 위해서 이 숨은 변수는 빛보다 빠른 정보전달을 허용해야 했다. 즉 비국소적 숨은 변수가 필요했던 것이다. 봄의 이론은 학계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한다. 여기엔 봄의 특이한 이력도 한몫 했다. 1950년대 초 미국은 공산주의자를 마녀사냥하는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 실험을 열흘 동안 반복해서 점점 능숙하게 만들었어요. 그랬더니 느는 건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쪽이 아니었어요. 경험 쪽이었죠. 저 선수도 아마 사라진 공의 궤적을 경험적으로 추정해서 ‘이 위치에 와 있겠다’ 하고 생각한 덕분에 찾았을 거예요.Y 야수가 공을 보고 쫓아가는 데에는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공격에 잘 견디는 신뢰도 높은 CPS 원천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PS는 첨단 정보통신 기술과 센싱 및 제어기술이 총망라된 대표적인 융합 기술이다. DGIST는 2012년 이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손상혁 버지니아대 교수를 펠로우로 초빙해 사이버물리시스템 글로벌센터를 설립했고,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듣고 처음에는 의아해했으나 수업을 들으면서 깊은 연관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래픽 정보가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에 흥미를 느낀 장유진 씨는 본격적인 컴퓨터 그래픽의 세계로 발을 내딛었다. 이후 그녀는 세계 최대의 컴퓨터 그래픽 전문가 행사인 시그래프에 직접 찾아갔고, 2011년 1 ... ...
- 7회 명성병원에서 최동건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명성병원에 입원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왕 반장은 최동건을 통해 수지와 K에 대한 정보를 알아 낼 수 있을까? 왕 반장 일행은 최동건을 만나기 위해 명성병원으로 향했다!진짜 최동건을 찾아라!“이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최동건이라는 사람을 찾고 있습니다. 어느 병동에 입원해 있는지 확인을 ...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동물을 돌보는 코끼리의 수장이에요. 학교의 곳곳에 있는 정수기와 매점의 먹을거리 정보를 모두 기억하는 것이 특기랍니다. 반 친구들의 얼굴도 제가 가장 먼저 외웠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 주세요.공약➊ 모두 사이좋게 지내는 반을 만들겠습니다.➋ 남학생들이 싸울 경우 직접 나서서 막겠습니다 ...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눈속임 기술을 사용해 무대를 재현한 것이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8년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이 가로세로 약 4cm의 화면에 시야각 약 23°인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었다.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공간광변조기’라는 일종의 작은 화면이 필요하다.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