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소행선 탐사선 5일 지구 접근…6년간 50억㎞ 비행
연합뉴스
l
2020.12.03
여행한 뒤 지구로 돌아오는 하야부사2는 5일 오후 2시 30분께 지구에서 약 22만㎞ 떨어진
곳
에서 캡슐을 분리한다. 소행성 류구의 모래가 담긴 것으로 보이는 캡슐은 6일 오전 2시 28분께 초속 12㎞의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해 호주 서부의 사막에 추락할 예정이다. 고도 10㎞에서 낙하산이 펴져 ... ...
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 출범…전문인재 양성·상호협력 추진
연합뉴스
l
2020.12.03
출범식도 열린다. AI 대학원 간 상호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할 협의회에는 AI 대학원 8
곳
과 AI 융합연구센터 4개 등 총 12개 대학의 책임교수 12명이 회원으로 참여한다. AI 대학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2개 대학 총장과 과기정통부 장관 간 온라인 간담회도 열린다. 간담회에서 이들은 각 AI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기술인력’이란 무엇인가
2020.12.03
모르는 과학행정 전문가들은 여전히 과학기술인을 숫자로 다루고 있다. 하지만 그
곳
에 사람이 있다. 과학기술인은 국가의 노예가 아니며, 그들을 노예로 다루는 낡은 관점으로는 더이상 과학기술로부터 혁신을 얻을 수 없다. ※참고자료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091421&plink=COPYPASTE ... ...
영국서 백신 최초 승인…인류 괴롭힌 코로나와의 싸움 끝날까
연합뉴스
l
2020.12.03
러시아 등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넘는 국가도 12개국이 된다. 50만명을 넘는
곳
을 포함하면 24개국으로 늘어난다. 이에 따라 각국은 올해 내내 코로나19와의 힘겨운 싸움을 벌여왔다. 지난봄 유럽과 미국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봉쇄조치가 내려진 데 이어, 가을 들어 2차 확산이 ... ...
[소재의 미래]⑶용접도 대신할 절대 안떨어지는 궁극의 접착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만난 최영선 부산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는 “제조 산업에 접착제가 쓰이지 않는
곳
이 없다”며 “용접으로 구현할 수 없는 복잡한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용접보다 더 높은 강성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외부 바이러스로 코로나19 진단 속도·정확도 높인다
2020.12.03
교수는 “비교적 간단한 나노공학을 통해 코로나19 대량 테스트가 쉽지 않은
곳
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문헌 https://ucsdnews.ucsd.edu/pressrelease/virus-like-probes-could-help-make-rapid-covid-19-testing-more-accurate-reliable?_ga=2.188742123.231805145.1606896845-2025301595.160 ... ...
“수능 전날 코로나 진단검사는 병원 아닌 보건소로”…수험생 유의사항은
동아일보
l
2020.12.02
교직원 등의 코로나19 감염도 늘면서 25일 등교수업을 중단한 학교는 전국적으로 213
곳
으로 집계됐다. 9월 18일(7018
곳
) 이후 가장 많다. 최예나기자 yena@donga ... ...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 달 표면에 착륙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고도 수정 등 궤도 조정을 거치던 창어 5호는 이날 오후 10시 57분 달 표면과 약 15km 떨어진
곳
에서 서서히 전력 감소를 시작했다. 서서히 착륙하며 장애물 감지가 이뤄졌고, 착륙지점을 선택한 후 장애물 회피 하강과 느린 수직 하강을 시작했다. 결국 창어 5호는 달 상공 15km 지점에 다다른 지 14분 ... ...
[랩큐멘터리] 미래 식량 보장하는 식물의 신진대사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40%까지 늘리는 데 성공한 것이다. 국내에 식물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대학 연구실은 10
곳
남짓이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덜 주목받는 편인 식물 연구를 하는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빌 게이츠가 죽는다면 암에 걸려서일까, 아니면 굶어서일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자본의 관심이 많아 연구비가 ... ...
"실내 2m거리두기 불충분할수도…6.5m거리서 5분 머물고 감염"
연합뉴스
l
2020.12.01
2m보다 먼 거리를 넘어 전달됐을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봤다. 실제로 B와 더 가까운
곳
에서 오래 머물렀던 식당의 다른 손님들은 감염되지 않았던 만큼, 공기 흐름 경로나 감염자와 마주 보는 방향으로 앉았는지 여부가 추가 감염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자가격리자나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