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2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소변으로 빠르게 암 진단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분리 정제하는 복잡한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생체 시료만으로 현장에서 전립선암 진단에
성공
했다. 소변과 혈장에서 암세포 유래 엑소좀에 붙어있는 단백질을 검출하며 전립선암 환자 그룹과 건강한 그룹을 구별했다. 조윤경 그룹리더는 “이번 기술은 현장진단기기의 미래 기술 개발에 핵심 ... ...
안압 측정하고 약물 전달하는 콘택트렌즈로 녹내장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따라 약물을 전달한다. 돼지와 토끼 눈에서 실험한 결과, 안압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성공
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안압이 고위험 수준에 도달하면 무선 전력 전송으로 구동되는 약물 전달 모듈이 작동한다. 각막에 항녹내장 약물을 전달한다. 연구팀은 “이 콘택트 렌즈는 기존의 콘택트렌즈 ... ...
최고 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외부 양자효율 및 높은 재현성을 갖는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제작에
성공
했다. 이와 함께 900㎟의 대면적 발광 소자에서도 외부 양자효율 21% 이상의 고효율 발광 소자도 제작했다. 이태우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 및 발광 다이오드를 상용화하는 데 걸림돌이었던 대면적 ... ...
KT "1㎞ 구간 무선 양자암호 전송
성공
…국내 최장 거리"
연합뉴스
l
2022.05.17
17일 밝혔다. KT는 한강 동작대교 북단에서 남단까지 구간에서 무선 양자암호 전송에
성공
해 자유공간에서의 양자전송과 장거리 정밀지향 등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그간 국내에서는 300m 구간에서의 무선 양자암호통신 연구만 진행됐다. KT는 이번 기술 검증이 기존 거리의 3배가 넘는 ... ...
1분만에 지진 규모 파악..."중력파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인공지능(AI)으로 학습시킨 결과 1분 내 대형 지진의 규모를 정확히 예측하는데
성공
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0일 발표했다. 지진은 보통 지진계로 지면의 진동이나 지진파를 감지해 알아내지만 규모 7 이상에서는 지진파가 너무 강해 잘 관측되지 않는다. 2011년 발생한 동일본 ... ...
[주말N수학]수학자이자, 작가, 반전운동가 버트런드 러셀
수학동아
l
2022.05.14
완성한 집합론을 사용해 수학의 체계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려 했어요. 프레게의 도전이
성공
을 눈앞에 두던 때쯤 러셀이 프레게가 주장하는 논리의 모순을 발견한 거지요. 이것이 유명한 ‘러셀의 역설’이에요. 김병한 연세대 수학과 교수는 “집합론으로 수학의 기본을 잡으려는 현대 수학의 ... ...
출연연은 밀고 기업은 끌고…日 전량 수입하던 이차전지 밀봉소재 국산화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기술과 인력지원을 기반으로 ‘생체신호 레이더 센서’의 세계 최초 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
했다. 국내투자 10억원 유치와 같은 성과를 거뒀다. 우수사례집은 NST 홈페이지(https://www.nst.re.kr/nst/pr/01_04.jsp)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
질병 유발 유전자 찾아내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면역질환 등의 발병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 신약개발을
성공
적으로 진행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산은, 과학기술원 창업 15개사에 385억원 투자 완료… 벤처투자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AI) 비전인식 기술을 이전받아 AI 기반 생활폐기물 회수로봇 '네프론'의 사업화에
성공
한 업체다. 산은은 50억원을 투자했다. 리센스메디컬은 김건호 UNIST 교수가 창업한 냉각의료기기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안구 냉각마취기기를 개발해 미국식품의약국(FDA)에 허가를 준비하고 ... ...
노벨상 수상자 셰크먼 교수 "유전자 가위 아픈 세포에 넣어 난치병 치료할 날 곧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교수는 엑소좀과 또 다른 세포밖 소포체인 미세소포을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내는데
성공
했다. 또 최근에는 엑소좀의 정확한 기능을 알아내고 이를 질병 치료에 활용할 방안을 찾고 있다. 특히 엑소좀을 이용해 '캐스9'라는 효소를 몸속에 전달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캐스9은 대표적 유전자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