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활자와 인쇄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나온 것을 일본인 골동상이 덕수궁 왕궁박물관에 1913년 넘겨준 '복'자 활자(현재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는 그 금속성분이 해동통보와 같다. 또한 1958년 개성 만월대 북문 3백m 지점에서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발굴한 고려 놋쇠활자 '전'자 역시 그 금속 성분이 해동통보와 비슷하다.중국보다 앞선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한강 시민공원에서 보리를 수확해 양로원과 고아원에 보내기도 했다. 1995년 가을
국립
민속박물관은 경복궁 동편의 빈공간에 약 16평의 민속텃논을 조성해 벼를 수확하기도 했다.최근 모 건설회사는 상계동의 빌라를 분양하면서 가구마다 8.5평의 텃밭과 11.6평을 차지하는 배나무 한 그루씩을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커져 우주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 때 만들어진 것이
국립
우주개발센터로,
국립
우주개발사업단(NASDA)의 전신이다. 현재 NASDA는 총리부 산하에 있으며 통신위성 등 응용부문의 개발을 주로 담당한다. 이와 달리 일본의 우주과학연구기관(ISAS)은 문부성 산하에 있으며 천체관측용 위성 등 ... ...
조선 건국의 상징 「천상열차분야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3백여년이 지난 숙종13년(1687년)에 복각됐다.그로부터 다시 3백여년이 지난 최근에 대덕
국립
중앙과학관과 경주 신라역사과학관에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곱게 복원해 천문도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 ... ...
남극 인터넷과 연결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많은 천문학적 관측물들이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측 가능하다.
국립
과학재단(NSF)은 이 프로젝트에 GOES-3라는 기상위성을 이용할 계획이다. 일반적인 위성은 적도 상공을 돌고 있기 때문에 그 궤도에서는 극점을 볼 수 없다. 그러나 자체 로켓을 사용해 극궤도를 도는 GOES-3는 ... ...
1 생명의 설계도, 방대한 유전정보 입력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더불어 인체세포에 존재하는 약30억개의 DNA 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을 밝혀내는 작업이다.미
국립
휴먼게놈연구센터(National Center for Human Genome Research)는 2005년도까지 10만개 가량의 인체 유전자 지도 작성과 그들의 DNA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완전히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정부가 지원하는 ... ...
1 외계비행체, 세계곳곳서 목격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철과 산화철로 구성된 검은 점들이 형성돼 있음이 밝혀졌다.GEPAN의 생화학팀과 INRA(
국립
농업 연구소)의 미셀 부니아 교수는 착륙흔적 근처에서 야생 지주개자리(alfalfa)를 표본 채집해 엽록소와 카로틴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착륙 흔적 10m 밖에서 채집된 표준 샘플보다 약 30-50% 가량의 엽록소가 ... ...
에이즈 치료제 AZT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의도는 보다 싼 값으로 약을 공급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웰컴은 자존심을 가지고
국립
보건원에 맞섰다. 결국 1994년 법원은 AZT가 웰컴연구소의 창의적인 발명이라는 판결을 내렸다.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웰컴의 AZT 발견이 우연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핵산의 대사 과정을 차단하는 화학요법제 ...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추천한 교사들이 참가했으며 신유항 박사(경희대 명예교수)가 탐사팀을 이끌었다.오대산
국립
공원의 서쪽에 위치한 계방산(해발 1577m)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홍천군 내면 사이의 군계(郡界)를 이루고 있으며, 이 곳에서 약 20㎞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발왕산(1458m)은 계방산과 함께 태백산맥의 ... ...
비비, 지위 높을수록 번식력 약하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팩커 박사는 명망있는 동식물학자인 제인 구돌(Jane Gudall)및 그녀의 동료와 함께 곰베
국립
공원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에 따르면 우위에 있는 암컷들이 겪고 있는 번식상의 문제는 공격성과 연관이 깊다는 제안이다. 즉 암컷의 지위가 높을수록 더 공격적이 되기 쉽고,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