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 사실은 다시 한번 입증됐다. 하지만 아직 자연계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 대표적으로 4대 힘 중 하나인 중력은 전혀 설명하지 못한다.이런 한계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표준모형을 확장한 더 큰 이론을 동시에 연구 중이다. 예를 들어 우주에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대칭이 있다는 ... ...
- 태양전지, 레고처럼 만드니 효율이 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63cm나 증가한다는 정부간협의체(IPCC)의 발표가 나왔다. 온실기체를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태양광 전지’를 사용하는 것. 그러나 효율이 낮고 가격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니콜라스 힐튼 박사팀은 태양전지 표면의 모양을 바꾸면 효율을 22% 올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가장 대표적인 융합 학과는 어디일까? 가장 창의적인 학과를 꼽는다면? 김용환 교수는 조선해양공학과가 바로 창의성이 필요한 융합학과라고 강하게 말했다.“학과 명칭에서 잘 드러나듯 배, 잠수함, 해양구조물이라는 분명한 제품군이 있는 학문 분야입니다. 첨단 구조물을 만들려면 기계공학,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사람은 그의 작은 아버지다. “작은 아버지는 대기업에 입사해서 대표이사를 지냈고, 많은 연세에도 현재까지 국내외를 넘나들며 일하는 해외플랜트 전문가십니다. 그는 저에게 ‘인적 네트워크에 신경 쓰기보다 실력 쌓는데 집중하라’는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그가 통신,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떠올랐다.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분석하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의 유전체를 다루는 천 교수의 연구는 그 중 독특하다. 미생물은 유전체가 다른 생물에 비해 작은 편이다. 하지만 미생물은 종이 많으며 그 중 대부분을 인류는 구별조차 하지 못한다.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끈 인물이 있다. 항우연 항공분야 사업을 총괄하는 이대성 단장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항공 과학자인 이 단장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아왔을까. 부품가공업 하던 부친 영향 어릴 적부터 공학, 기계 제작 관심 많아 “어린 시절엔 아버지가 공장을 운영하셨어요. 집에서 자주 도면을 펼쳐 놓고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부대 대표 장병을 선출하는 방식이 바뀌었다. 제비뽑기를 통해 계급에 상관없이 부대를 대표해 실력을 겨루게 된 것이다. 혹여 이등병이 뽑힐까 걱정하던 선임들과 달리 은근히 자신이 뽑히기를 기대하던 찰나, 거짓말처럼 유 본부장의 이름이 불렸다. 그가 처음 출전하게 된 분야는 ‘사격도판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겼을 때 고객을 보호하고 대변해주는 일을 합니다.” 그의 말 대로 변리사가 하는 가장 대표적인 일은 발명이 법적인 권리를 갖도록 도와주는 일이다. 특허 분쟁이 있을 때는 의뢰인을 대신하면서 소송을 대리해 법리 다툼을 하기도 한다. 변리사는 또 기술기업, 연구소, 병원 등에 취직을 할 수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단법인으로 바뀐다), 한국자동차튜닝산업협회 회장, 에코드라이브 운동본부 대표, 자동차급발진연구회 회장, 한국자동차문화포럼연합 대표(정비, 교통안전, 튜닝 등). 김 교수가 맡고 있는 공식 직함이다. 대학교 수업은 실제로 이틀 정도 하면서 산학 협동을 전담으로 맡는다. 환경부, 국토해양부,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했다. 이미 우리나라에 돌아온 뒤였기에 수상은 아깝게 놓친 셈이다. 지금 언급한 영화가 대표적일 뿐 실제로 그의 연구가 쓰이는 영화는 많다. 소프트웨어는 한번 만들어 놓으면 계속 쓸 수 있어 지금까지 몇 편의 영화에 관여했는지 일일이 셀 수가 없다.CG 개발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까. 일일이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