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하겠다.그 외에도 카오스현상은 강한 비선형성을 지닌 시스템인 레이저 및 플라즈마의 불
안정
성, 조셉슨접합과 같은 초전도소자계의 전류특성에서의 요동, 전기 회로에서의 기이한 1/F잡음, 화학반응로안에서의 반응물질의 시간적 농도변화의 불규칙성, 먹이와 천적간의 먹이사슬 모델에서의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또 불규칙한 계는 불
안정
한 상태로 조그만 외적 영향에 의해
안정
된 상태로 옮겨간다고 이해해 왔다. 이러한 선형적 해석법에 입각한 사고에 중대한 전환을 가져온 결과가 1963년 MIT 기상학 교수인 에드워드 로렌츠가 고안한 공기의 대류 모델방정식(로렌츠방정식)에 의해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최소화- 이선방지로 아크음 최소화 신호시스템철도신호 시스템은 열차운행에 따른
안정
성확보와 수송효율을 높이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신호 시스템은 크게 연동장치 신호기장치 전철장치(轉轍裝置) 궤도회로장치 폐쇄장치 CTC장치(열차집중 제어장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 신호방식과 ... ...
물리- 패러데이가 전자기유도를 발견하던 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있다). 그 순간 자침의 작용이 감지되었다. 자침은 진동했다가 마지막에는 본래의 위치로
안정
된다. A코일의 전지를 끊었을 때도 자침은 영향을 받는다. A쪽 코일을 하나로 통합해서 그 전부에다 전류를 통하면 전보다 자침에 영향이 크다. B가 자침에 주는 영향은 영속적이 아니라 A쪽의 스위치를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어느 것으로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혼돈제어는 이미 레이저의 불
안정
성을
안정
화시켜 레이저의 출력을 증대시키는데 이용되었다. 혼돈제어는 비선형 제어를 주로 공학분야의 많은 문제들에 직접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또 생체세계에의 응용도 활발히 연구되고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무게는 물론 광학·신호처리부 등의 연관 요소들과 자세제어 능력에 따라 어느 정도
안정
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는가가 결정된다.우리별 1호에서 카메라로 우주 사진을 찍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면, 우리별 2호는 그간의 경험을 국내의 다른 기술인력들과 나눔과 동시에 제작과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한다.폭발이 어떤 종류였는지는 아직 모른다. 그 폭발은 불
안정
한 표면물질을 가진 젊은 별에서 아주 밝게 순간적으로 타오른 것일 수도 있다. 그 구역에서 FU 오리온과 같은 별은 1936년 타올라서 지금까지도 밝게 빛나고 있다. 알텐과 버튼은 폭발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압력에 놓이게 된다. 새로운 온도와 압력 아래에서 원래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은
안정
되지 못하고 새로운 형태의 광물로 바뀌는데, 이들이 어떤 종류로 바뀌는가는 판이 주어진 깊이의 맨틀에서 어떻게 움직이는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맨틀 깊이에서 존재하는 암석이 어떤 종류의 광물로 ... ...
화학 - 산성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부분 운송수단에서 발생된다. 공기중의 질소는 대단히
안정
한 기체이다. 그 이유는 질소원자 사이의 3중결합 때문이다. 공기의 주성분은 질소와 산소다. 이 두 물질은 상온에서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연료가 폭발하는 자동차의 엔진은 고온 상태이며 이 속에서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보다는 사장석의 양이 현저하게 많음)가 초기 대륙판의 원시핵에 관입하면서 좀더
안정
한 형태의 대륙판의 핵이 만들어져 크라톤(craton)을 형성하게 되고 대륙판은 성장하게 된다.약 27억년전 후로는 이러한 토날라이트의 관입이 절정에 달해 이때 대륙판의 약 50—80%가 형성된다. 이후 25억년전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