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그런데 1931년, 괴델이 이것을 증명도 부정도 할 수 없는 명제라며, 수학에서 증명도 부정도 할 수 없는 명제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정리를 내놓는다. 수학은 완전하지 않다는 ‘제1불완전성 정리’로 힐베르트의 프로그램을 반증한 것이다. 또 얼마 후 어떤 수학 체계에 모순이 없다는 것을 해당 수학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가장 바깥에 위치한 표피는 2주만 지나면 몸에서 다 떨어지고 적혈구는 겨우 4개월 정도밖에 살지 못한다는데, 이들의 빈자리를 열심히 채워주는 성체줄기세포가 새삼 고맙게 느껴집니다. [두 번째 질문] 성체줄기세포를 ‘저축’한다? 몸 안팎의 환경에 끊임없이 상처받고 유실되는 우리 몸의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역으로 파급해 효과를 확산하는 개발. 불평등 완화 노력능력이나 업적에 따른 어느 정도의 불평등은 개인의 성취 동기를 자극해 사회를 발전시키는 긍정적인 기능도 있다. 하지만 환경적·구조적 불평등이 발생하거나 불평등이 심화하면, 개인이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빼앗고 개인이나 집단 간의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포장 상자에 넣는 시간이 60~75분에서 30분 이내로 확 줄었어요. 덩달아 비용도 연간 40% 정도 절감 됐지요. 이런 효과 때문에 지금은 아마존 외에도 전세계 대형 물류 회사들이 키바와 비슷한 군집로봇들을 도입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때 0.2초 길이의 짧은 방귀 소리를 내는 것을 발견했답니다. 방귀 소리의 크기는 50dB 정도로, 2m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는 꽤 큰 소리였지요. 영 교수팀은 소노란 산호뱀이 그 소리를 낼 때 항문 주변의 괄약근을 움직인단 사실을 발견했어요. 괄약근을 이완해 공기를 항문 안으로 빨아들인 뒤, 다시 ... ...
- [과학뉴스] 조로증 치료 길, 드디어 열리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쥐에게 체중 1kg당 100mg에 해당하는 양만큼 리모델린을 투여한 결과, 체중이 줄어드는 정도가 25% 개선됐다.연구진은 유전자 치료 가능성도 확인했다. 실험쥐의 NAT10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자 체중 감소 속도가 21%가량 늦춰졌고, 심박수 감소도 완화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실전은 별개다. 백 선수는 “근육과 관절, 인대가 조화롭게 움직이려면 최소 3년 정도는 훈련을 해야 한다”며 “근육의 힘을 키우는 훈련과 관절을 적응시키는 훈련을 복합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팔씨름 선수들은 보통 일주일에 1~2회, 한 번에 2시간씩 근력 훈련을 한다. 근육이 견딜 수 있는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출장 일정을 당겨서 내일 새벽 비행기로 와서는 체육대회에 참석할 거라고 했다. 그 정도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게, 우리 녓은 인원수 자체가 적잖아. 그래서 사람이 안 오면 금방 표시가 난다고. 거기다가 다른 산하 기관들은 다 지방으로 이전했는데 우리는 이전을 안 했잖아. 체육대회를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 학년 정원이 40명 안팎인 소수정예로 운영하고 있다.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10~11명 정도(학부생 기준)인 만큼 교수진과 학생들이 소통할 기회가 많다. 특히 발사체와 인공위성, 인간동력항공기 등 전공과 연계된 동아리 6~7개는 교수들이 직접 지도하면서 학생들의 진로 설정을 돕고 있다. 이들 ... ...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하는 공부도 물론 필요하지만, 차분히 앉아서 그것을 자신만의 것으로 소화시키는 과정도 필요하다. 많은 학생들은 내신 시험기간이 끝나면 더 이상 앉아서 하는 공부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능은 국가적으로 공인된, 심화된 개념과 사고력을 묻는 시험이다. 내신 시험이 기초적인 개념이나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