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곤충의 더듬이 모양을 한 천체가 있다. 이 더듬이 천체의 정체는 놀랍게도 우주
최대
의 교통사고 현장이라고 하는데…웬만큼 별이 보이는 지역이라면 봄밤하늘 남쪽지평선 근처에서 어두운 사각형 모양의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그 모양으로는 도저히 상상하기 힘들지만 까마귀자리다. 까마귀의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적게는 4-6km 많게는 8-12km를 뛴다. 평균심박수도 분당 1백60회에 이른다. 이 정도면
최대
유산소능력의 약 75%를 족히 넘는 수준이다. 천천히 뛰기나 뒤로 뛰기가 전체의 30%를 차지하는데, 특히 뒤로 뛰기가 전체의 약 6%를 차지한다. 선수들에 비해 순간적으로 뛰는 경우는 적을지라도 상당한 체력을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움직임이 느린 BEC에서 오랫동안 빛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빛을 저장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은 BEC의 경우 0.001초 정도다.빛을 정지시키는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자광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양자적 입장에서 보면 물질과 빛은 파동과 입자 두가지 성질을 모두 갖는다. 하지만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위로 떠오르는 추세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고도가 좀더 높아질 것이다. 금성이
최대
이각에 이르는 시기는 8월 말이다. 이때까지 점점 더 고도가 높아져 해가 질 때 약 40˚에 이른다.외행성인 화성과 토성, 그리고 목성은 현재 순행중이다. 순행이란 천구에서 행성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행하는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옛날부터 인류공통의 소원이었다. 더욱이 생활 여건이 향상된 요즘, 건강은 현대인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유전체학(게노믹스)와 단백질체학(프로테오믹스)를 중심으로 한 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봇물처럼 쏟아지는 최근에는 새로운 약에 대한 ‘갈망’이 그 어느 때보다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중성자를 고속으로 쏘았더니 기포가 생겨나 지름이 나노미터(1백만 분의 1m)크기에서
최대
1㎜ 크기까지 자랐다가 터졌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수소들을 핵융합시킬 때 만들어지는 삼중수소와 2백50만 전자볼트의 에너지를 가진 중성자가 검출됐다는 것. 중수소 두개를 핵융합시키면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위해서는 접시 크기를 늘리는 일이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현재 인간이 접시 크기를
최대
로 늘린 망원경이 한 영화에서 등장한다. 영화 ‘콘택트’(Contact)에는 미국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지름이 3백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아레시보 망원경, 그리고 미국 뉴멕시코 주에 있는 브이엘에이(VLA)라고 ... ...
유전자가 운동선수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있다.장거리 지구력의 경우 근육 기능에 비해 유사성이 더 낮다. 장거리 지구력에 필요한
최대
유산소능력은 25%의 유사성을 보이는 반면, 약한 강도인 운동에서의 유산소능력은 부모와 자식 간의 유사성이 오히려 더 낮아 겨우 1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유산소능력과 관련된 심장과 허파 그리고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넓지 못한 전투기는 별 쓸모가 없다.F-15K는 무장한채 연료를 다시 보급받지 않아도
최대
1천6백km 반경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북한과 일본 전지역뿐 아니라 중국 동부와 러시아 영토 상당 지역까지 활동반경을 갖는 셈이다. 무기 양을 줄이고 보조연료탱크를 장착하면 활동반경은 2천km대까지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짙은 안개가 낀 것 같았고, 시야도 흐려져 서울의 경우 맨눈으로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최대
거리가 1.2km에 지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대낮에도 중천에 뜬 해가 보름달인 것처럼 착각이 들 정도였다.최근 황사가 급증하고 있다. 봄철에 황사가 일어난 전국 평균 일수는 1961년부터 1990년까지 30년 간 2.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