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640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5억 년 후 초기 은하는 '바나나' 모양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사전게재사이트 '아카이브'에 논문을 공개했다. 국제 학술지 '천문학 저널'을 통해 공식
발표
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초기 은하의 형태가 현대 우주에서 발견된 은하과 비슷하게 타원형이나 원반형일 것이라는 추측이 우세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추론을 뒤집고 초기 은하의 모습이 바나나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벌레 잡는 식물의 구조적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그라실리스가 어떻게 이 세 가지 형질을 갖게 됐는지 분석한 연구를 4일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네펜데스 그라실리스 서식지에서 4000km 떨어진 곳에서 비슷한 곤충 포획 메커니즘을 가진 '네펜데스 페르빌리'라는 벌레잡이식물을 발견했다. 두 종을 비교해본 결과 서로 다른 구조적,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정책 방향성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이 2021년
발표
한 KPGM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국가다. 1위는 호주, 2위는 미국이며 한국과 영국이 공동 3위다. 그린피스는 이 자료와 국가별 일회용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외부 은하인 마젤란은하에 존재하는 '강착원반'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
했다. 강착원반(accretion disk)은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가스와 먼지들이다. 별을 형성하는 가스구름이 수축하면 가운데를 중심으로 밀도가 높아지고 둘레에 있는 물질은 낙하한다. 물질들은 낙하하면서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팀은 ‘후성유전학 시계’라는 수학 모형을 이용해 강아지 나이를 환산하는 공식을
발표
했다. 이 공식에 따르면 2021년생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인간 나이는 48살이다. 강아지의 평균 수명을 일반적으로 10~13년이라고 볼 때 인간 나이는 생각보다 많다. 어찌된 일일까. 후성유전학 시계는 생물학적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IUCN) 제니퍼 루츠케 박사팀은 도롱뇽 5종 중 3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습니다. 연구팀은 “기후 위기로 산불이 자주 발생하고 가뭄이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도롱뇽이 살 수 있는 습한 서식지가 줄었다”고 설명했죠. 제니퍼 루츠케 연구원은 “숲을 보호해 다른 ... ...
2028년 수능 '심화수학' 제외 논란…'대학생 수포자' 걱정하는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있다. 필립 새들러 미국 하버드대 수석강사 연구팀이 2018년 '미국수학교사협회지'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고등학교 과정에서 미적분학을 접한 학생은 대학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준의 미적분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울 때 두 배 이상의 숙달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고등학교 미적분학 성적이 ... ...
꿀벌 줄어들자 '자가수분'으로 번식 전략 바꾼 팬지꽃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퀸란 미국국립과학재단 연구원 연구팀이 지난해 10월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미국의 꿀 생산량은 최근 5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연구팀은 꽃가루를 옮기는 꿀벌이 예전보다 많은 꿀을 머금은 꽃을 찾기 힘들어지면서 수확할 수 있는 꿀의 양이 줄게 됐다고 분석했다 ... ...
뇌 전이 암 발병 원리 3D 프린팅 뇌혈관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
했다고 5일 밝혔다. 뇌전이암은 다른 조직에서 분리된 암세포가 뇌로 복잡하게 얽힌 혈관을 타고 이동해 발생한다. 뇌혈관을 직접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병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체외 ... ...
모계 유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길 열리나…동물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미토콘드리아 DNA 서열을 바꾸는 데 성공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4일
발표
했다고 5일 밝혔다. 에너지 공급원인 미토콘드리아에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있다. 이 DNA에는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유전정보가 담겨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결함이 생기면 뇌,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