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6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노래하는 쥐에게서 인간의 대화 메커니즘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3
28일 실었다. 이 쥐는 멕시코나 파나마와 같은 중앙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10~13g의
작은
설치류로 특유의 고음을 내며 서로 의사소통을 해서 ‘노래하는 쥐’라고 불린다. 다른 쥐의 소리를 듣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그에 맞는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대화 방식은 감각과 근육의 ... ...
조기출산 신생아 생체정보, 무선으로 모니터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1
연약한 신생아의 피부에 무리를 주는 생체신호 측정 장비를 ‘파스’ 형태의 얇고
작은
센서에 집약했다. 전력과 데이터를 모두 무선으로 송수신하게 해 거추장스러운 선도 없앴다. 젊은 한국 출신 연구자들이 미국에서 이룬 성과다. 인류 건강에 미칠 영향을 높이 평가한 학술지와 재단도 관심을 ... ...
혈관 속에서 자유자재 소프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보니 방향을 정확히 제어하기가 어려웠다. 최 교수팀은 길이 4mm, 지름 0.5mm로 쌀알보다
작은
원통형 마이크로로봇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생체에 해가 없으면서 잘 휘어지는 고분자 물질과 자성 물질인 네오디듐을 이용한 자석 두 개, 그리고 8개의 전자기 코일을 이용해 원통형의 ... ...
이스라엘 달 탐사선, 첫 궤도조정 실패하며 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스페이스IL 제공 이스라엘의 달 탐사선 '베레시트(Beresheet)'가 우주궤도에 오르긴 했지만
작은
고장이 겹치면서 26일 새벽(한국시간) 첫 번째 궤도조정에 실패했다고 AP통신이 밝혔다. 베레시트는 지난 22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펠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 ...
우주에서 본 일제 강제징용 상징 ‘군함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본 남서쪽 나가사키 항에서 약 1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섬 하시마. 남북 480m에 동서 160m의 길쭉한 섬 모양이 일본 군함을 닮았다 해서 '군함도'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섬은 19세기에 매립을 통해 만들어진 뒤 1940년대 수백 명의 조선인이 강제징용돼 석탄 ... ...
전기로 뇌 치료 ‘뇌전기자극술’ 안내할 ‘뇌 내비게이션’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3층 피라미드세포'의 활성화 반응을 시각화했다. 넓은 '패드 타입' 전극은 넓은 영역에,
작은
점 모양인 '디스크 타입' 전극은 제한된 뇌 영역에 자극이 집중됐다. 사진 제공 GIST 국내 연구팀이 파킨슨병이나 우울증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 쓰이는 ‘뇌전기자극’ 치료법이 실제 뇌에 미치는 영향을 ... ...
“의료 영상도 꿰어야 보배”...AI 판독 만족도 쑥쑥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연세대 의대에 자리를 잡은 지 1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벌써 30여 개의 크고
작은
영상의료 AI 연구를 하고 있다. 심근병증을 AI를 이용해 예측하거나 뇌종양의 종류를 분류하고 폐렴과 결핵을 구분하거나 하나의 X선 영상에서 뼈와 그 외의 조직을 분리한 영상을 만드는 등 분야도 광범위하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진실을 대하는 인간의 속성 '라쇼몽 효과'
2019.02.24
원리입니다. ‘5+7=12’라는 진리는 누구에게나 동일합니다. 키가 큰 용의자가 키가
작은
아버지를 찔렀는데, 상처가 아래에서 위로 날 수 없다는 사실이나 기차가 지나갈 때는 ‘죽여버리겠다’는 소리가 들릴 수 없다는 사실도 그렇습니다. 인간이 가진 기억의 불완전성이나 감정에 휩쓸리는 판단적 ... ...
[표지로 읽는 과학]절대영도 가까운 극저온에서 탄생시킨 페르미온 분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사이언스는 투명한 상자 안에 갇혀 있는
작은
분자들의 모습을 22일자 표지에 실었다.
작은
분자들은 상자를 열기만 하면 바로 쏟아져 나올 것처럼 이리저리 떠다니고 있다. 이 그림은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 분자를 매우 차갑게 냉각시켜 형성한 페르미온 분자(진짜 분자는 아니지만 두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팀 규모에 따라 연구결과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3
디자인, 접근을 가져올 확률이 대규모 연구팀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뭉쳐 있는
작은
물고기로 대변되는 대규모 연구팀은 교육을 같이 받았던 확률이 높았으며 기존의 발견들을 통합하고 강화시키는 확률이 높았다. 또 대규모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는 최근 진행됐던 유명한 연구의 후속인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