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뉴스
"
재료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항공기 만들던 기술로 국산 자동차 부품 만들었다
2014.12.10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무게를 줄여 차량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료
연구소 측은 앞으로 이 기술이 KFX(한국형 전투기) 사업 및 민항기 부품 제작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국산화를 위한 항공, 국방 관련 기술이 일반 산업 분야에까지 파급됐다는 ...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전달하는 성능이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임스 투어 미국 라이스대
재료
과학 및 나노공학과 교수팀은 인공적으로 무늬를 새긴 그래핀 박막 축전기의 성능이 일반 탄소 축전기보다 좋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발표했다. 육각형으로 배열된 ... ...
신기하네~ 열 전달하는 플라스틱
2014.12.07
7일 밝혔다. 지금까지 열을 잘 전달하는 고분자 물질을 만들려면 금속이나 세라믹
재료
를 추가로 넣는 방식을 써 왔다. 이 방식으로는 무게와 가격이 올라가고 투명하게 만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열에너지가 분자진동을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폴리아크릴산(PAA ... ...
“여기는 남극 장보고기지, 우주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2014.12.05
운석을 찾고 있다. 운석은 우주로 직접 나가지 않고도 태양계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재료
다. 남극 대륙은 수백만 년에 걸쳐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이 보존돼 있는 거대한 운석 저장고다. 운석을 찾으러 갈 때는 헬기가 유일한 이동 수단이다. - 극지연구소 제공 탐사대는 한 치 앞도 볼 수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재료
연구소 박사가 공정을 거친 타이타늄의 미세구조를 현미경으로 분석하고 있다. -
재료
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타이타늄에 값비싼 원소를 넣는 대신 타이타늄을 고온에서 변형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이때 타이타늄의 미세 구조는 nm(나노미터) 단위로 줄어든다. 금속을 이루는 성분의 미세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과정에 필요한 수수께끼 하나를 풀어냈다. 정두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자
재료
연구센터 선임연구원 팀은 독일 킬대, 율리히 연구소, 러시아 아이오페 연구소와 공동으로 강유전체를 이용한 소자에서 ‘거대전극효과’가 발생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바깥에서 ... ...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남승은 △차세대전지소재연구센터장 강영구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장 원종찬 △박막
재료
연구센터장 정택모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의약화학연구센터장 안진희 △신물질기반기술연구센터장 이상달 △바이러스시험·연구센터장 김미현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장 고영관 ... ...
물과 기름, 초음파로 섞어 봤니?
2014.12.01
기름을 섞을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추민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기능
재료
표준센터장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기름을 잘게 분산시켜 물과 섞이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화장품이나 샴푸 등에는 물과 기름을 섞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포함돼 있는데, 가려움이나 염증 ... ...
의약품 핵심 원료 ‘비천연 아미노산’ 국산화한다
2014.11.26
생산 기술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신종식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사진)팀은 값싼
재료
를 이용해서 독일이나 일본 제품보다 품질이 좋은 비천연 아미노산을 생산하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비천연 아미노산이란 생명체가 만드는 천연 아미노산과 달리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 ...
항생제도 안 듣는 헬리코박터균, 나노입자로 잡는다
2014.11.26
때의 10분의 1 수준이다. 리포LLA는 섭취한 지 24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소화됐고 생체
재료
를 이용했기 때문에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리앙팡 장 교수는 “리포LLA가 차세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첫 번째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