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스페셜
"
기존
"(으)로 총 2,87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 유전체, 뇌과학 투자 늘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13
것 ▲BT분야 인력창출과 일자리 창출 ▲중앙중심 R&D 수행체제에서 지방정부로의 변화 ▲
기존
기술을 활용한 BT복지 등을 당부했다. 권영근 연세대 교수는 우리가 가진 위기를 BT연구를 통해 해결해야함으로서 BT개발의 국민공감대를 이끌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조류인플루엔자 등 생명학과 ...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한국의 생명과학분야 연구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한국을 찾을 때마다 뛰어난 연구환경과 개별 과학자들의 우수성에 놀라곤 합니다. ‘창의적 도전’ 정신만 키운다면 세계 생명과학을 충분히 이끌어 갈 수 있을 겁니다.” 7번째로 한국을 찾은 199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에르빈 네어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성장호르몬’ 연구는 지난 7월 한독약품과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기존
벤처기업의 연구는 기술이전 후 개발이 불투명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계약은 공동연구까지 진행하게 된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신약개발분야에서 개별 연구자가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박 CTO는 “시장은 레드 오션이지만 기술 자체는 블루 오션인 경우가 있다”며 “이는
기존
에 시장이 존재하지만 새로운 기술이 아직 도입되지 않아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를 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박 CTO는 자신이 사업화하려는 아이템이 과연 ‘세계를 이끌 수 있는 아이템인가’에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한국이 어떤 전략을 펴야 하는지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했다. 특히 신약개발 부문에서
기존
선진국과 차별화된 방법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아시아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퍼졌다. 국제 공동연구의 현실과 한인 과학자들의 네트워크 활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이 오갔다.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것으로 보인다. 장 소장은 “세계적인 불경기인데다 제약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가 없어
기존
에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거대 제약사들이 위협받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바이오시밀러 분야에 상대적으로 일찍 뛰어들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몇 년 전부터 분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수 있어 앞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는 “옷이나 플라스틱, 약품 등
기존
에 우리가 쓰는 소재들은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앞으로는 인간에게 유용한 소재를 감귤바이오겔처럼 동식물 자원에서 찾을 것”이라며 “미니돼지를 길러 신약 개발은 물론 장기이식용으로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상황으로 이어져 바이오 산업 전체가 지체된 것이죠. 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기존
의 틀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성광(52·사진)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정책관은 바이오 선진화를 위해서는 바이오 산업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현장의 소리를 듣고 정책을 마련하는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단백질 신약 분야에선 한참 뒤처져 있다”며 “순수 국산 기술로 만든 인공항체는
기존
항체를 대체해 단백질 신약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인공항체 단백질 설계 기술은 진단이나 분석용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답했다. 원숭이란 ‘영장류를 이용한 단백질 독성평가’를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기존
의 화합물 독성평가는 실험용 쥐(모르모트)나 토끼 등을 쓴다. 하지만 ‘단백질 독성평가’는 원숭이, 유인원 등의 ‘영장류’를 쓴다. 단백질 독성실험은 사람과 단백질 구조가 가장 비슷한 동물인 영장류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