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12
- 수능을 일주일 앞둔 11월 6일, 서울 정신여자고등학교(이하 정신여고)에서 조금 특별한 전공 설명회가 열렸다. 발표자는 현재 공대를 다니고 있거나 갓 졸업한 ‘예스(YEHS, Young Engineers Honor Society)’의 회원들. 한국공학한림원 산하 공대생 연합동아리인 예스는 지난 10년간 전공 설명회를 40회 넘게 한 ... ...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512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 과학자라고 낭만을 모르겠는가. 크리스마스에도 혼을 불태우며 연구를 하고 있을 젊은 과학자들에게이 화보를 바친 ... 배양했다. 금속으로 2mm 크기 글자를 만든 뒤, 그 위에 생물막이 자라도록 유도했다. 글자 모양으로 완전히 자라는 데 12시간이 더 필요했다 ... ...
- 여왕벌 죽이는 일벌의 반란, 이유는 유전자과학동아 l201512
- 벌은 계급별로 서로 일을 나누고, 돕는 놀라운 사회성을 보여준다. 그런데 아주 가끔은 이런 일벌이 여왕벌을 죽이고 새여왕벌을 옹립하는 반역을 꾀한다. 왜그럴까.미국 UC리버사이드 케빈 루프 교수팀은 땅말벌의 행동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유전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일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 ... ...
- [과학뉴스] 외계생명체 보기엔 너무 일찍 태어난 지구과학동아 l201512
-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이 존재하는지는 인류의 오랜 관심사였다. 그런데 미국의 한 연구팀이 그런 외계행성이 설사 존재한다고 해도 대다수는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다는 맥 빠지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미국 우주망원경연구소 피터 베루치 연구원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케플러우주망원경의 ...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과학동아 l201512
- 26년간 잠들어있던 블랙홀이 깨어나 활동을 재개한 모습이 포착됐다. 유럽우주국(ESA)은 지난 6월 15일 블랙홀로 추정되는 ‘백조자리 V404’가 X선과 감마선 등 기존보다 200배 많은 빛을 방출했다고 발표했다. 백조자리 V404가 이렇게 많은 빛을 쏟아낸 건 1989년 이후 처음이다.지구에서 7800광년 떨어진 ... ...
-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과학동아 l201512
- 뼈, 장난감, 우주선…, 세상에 못 만드는 것이 없는 기술로 각광받던 3D 프린팅 기술이 안전성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윌리엄 그로버 교수팀은 STL(stereolithography) 방식과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제작한 물건에서 독성이 검출됐다고 ‘환경 과학과 기술’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 ...
- 갱도에서 피어난 귀한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512
- 광물의 아름다움을 판단하는 기준은 뭘까. 일반적인 예술작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색상과 광택, 투명도, 색상 대비 등이다. 여기에 광물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결정의 완벽성 정도가 더해진다. 하지만 사람이 의도를 갖고 만드는 예술작품과 달리, 자연이 만드는 광물은 모든 조건을 갖춘 ‘걸 ...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과학동아 l201512
- 마무리 투수(또는 구원 투수)는 경기가 이기고 있을 때 경기를 끝내기 위해 등장하는 선수를 말한다. 경기 막바지의 절체절명의 상황에 등판하다보니, 구원 투수 한 명에 따라 경기의 승패가 왔다 갔다 하곤 한다. 엄청나게 중요한 포지션이지만 이들에 대한 평가는 크게 엇갈린다.너의 진짜 가치를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12
- “대학교 세포생물학 시간에 처음 DNA 복구에 대해 들었어요. (사람의 생사가 달려 있는) 중요한 일이라는 생각에 석사과정 때부터 이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무수한 염기 서열로 이뤄져 있는 DNA는 자외선과 발암물질 등에 의해 서열이 변형되는 등 손상을 입기 쉽다. 다행히 인체는 이런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12
-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라져 뇌의 부피가 줄어든다.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가 작아지는 현상이 뚜렷하다. 해마의 부피를 측정하면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공명영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