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평소에 하고 싶었던 말을 랩으로 전한 뒤 “정말 속이 시원하다”고 말했다. 이 모습을 보고 속이 뻥 뚫리는 것 같다면 TV 속 래퍼의 감정이 전이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옆에 있는 사람도 아니고 TV를 통해 보는 래퍼의 감정이 시청자에게 전이 될 수 있을까. 지난해 6월, 미국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남기고 있다. 수도권 일대에서 메뚜기목을 관찰해 기록하고 아마추어 곤충학술지에 기록보고를 하기도 한다. 최종적으론 곤충기를 쓰는 게 목표다. “사람들이 주변에서 그래요, 너 완전 한국의 파브르라고. 전 가장 알려지지 않은 곤충을 가장 재미있게 알리고 싶어요. 김태우 연구사님이나 정부희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상대의 거짓말에 속아 배팅을 포기하면 추가로 벌금을 낸다. 그래서 상대의 10 카드를 보고도 일부러 큰 숫자의 칩을 걸어 상대가 포기하게 유도하곤 한다. 혹시 상대의 10을 잡기 위한 거짓말 확률도 구할 수 있을까.엄 : 일단 10×10 행렬을 그려서 각 상황별로 철수와 영희가 받는 보상을 계산해서 …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칠면조독수리와 비슷했기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 또한 뛰어난 후각을 가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늑대와 같은 오늘날의 활동적인 맹수들은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멀리 있는 먹잇감의 위치를 추적한다. 티라노사우루스 역시 마찬가지였을 것이다.미국 오하이오대의 로렌스 위트머 박사는 CT촬영을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내가 똑똑하기 때문에 기르지 않았을까요? 난 아주 빨리 배우거든요. 부모님의 행동을 보고 따라하기도 하고, 인간의 행동을 따라하기도 하며 배우죠. 그래서 우리는 원시 사회에서부터 사냥을 할 때나, 물건을 옮길 때 사람들을 도왔어요.네가 늑대랑 비슷하다는 사람들도 있던데…. 정말 그런 거야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걸까요?1876년 호주에서 그로스 미셸 바나나에 파나마병이 생겼다는 것이 처음으로 보고 됐어요. 파나마병은 곰팡이균인 ‘푸사리움 옥시스포럼(Fusarium Oxysporum)’이 땅을 통해 퍼져나가는 무서운 바나나 전염병이랍니다. 곰팡이균이 바나나의 뿌리에서 흡수되면 물관을 타고 풀 전체로 이동해 줄기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고 보면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조금만 배우면 게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든 게임을 내 스마트폰에 넣어 친구들에게 자 ... 더 많게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떤 게임을 만들어 보고 싶나요? 다음 게임카페 이야기도 기대해 주세요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갖고 있다. 다음세대를 위해 정성껏 잎사귀를 오려 둘둘 말아 알을 낳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으면 작은 거위벌레의 헌신적인 사랑에 마음이 뭉클하다. 하지만 모든 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드는 건 아니다.요람 만들기 실력이 없는 거위벌레도 살고 있다. 거위벌레과의 곤충 중에 잎사귀 재단 기술자는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한민고 1)은 “인터넷으로는 알 수 있는 게 제한적인데, 이곳에 와서 눈으로 해양생물을 보고 궁금한 점은 박사님께 직접 여쭤볼 수 있어서 정말 값진 시간이었다”며 “연구원 생활은 내가 꿈꿔온 미래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최 군은 최 연구원의 노트에 “박사님은 제 롤모델이에요. 나중에 꼭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다비드 아네즈는 자체 제작한 유튜브 영상을 통해 “타코마 다리가 붕괴하는 영상을 보고 공기 소용돌이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말했다.타코마 다리는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 시의 좁은 해협을 잇던 다리로, 1940년 개통된 지 네 달 만에 붕괴됐다. 공기 소용돌이가 일으킨 진동이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