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전지 손목시계부터 우주왕복선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획기적인 성능향상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소재산업이니만큼 기존의 공정에 맞추면서도
새
로운 소재를 찾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최근들어 핸드폰, 노트북PC, 캠코더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발달은 더 작으면서도 더 가벼운 고성능의 전지를 요구하고 있다.지난 1-2년간 급성장한 니켈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않고 반클러치 상태로 많이 사용해 마찰이 많아지면 이런 냄
새
가 난다.비닐 타는 냄
새
이 경우엔 일단 배선을 의심해야 한다. 자동차 화재 대부분은 배선 합선에 의한 것이다. 차 엔진은 기름을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다. 연소에는 불가피하게 열을 동반한다. 이 열을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한다. 또 어떤 학자들은 불안정한 원소주기를 넘어서면 안정한
새
원소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그러나 마지막 원소가 발견될 때까지 과학자들은 원소의 바다를 계속 항해할 것이 확실하다. 인터넷에서 정보찾기GSI연구소http://www.gsi.de주기율표http://www.shet.ac.uk:80/~chem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날개의 가로 세로비가 커지는 것은 과학적인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행글라이더는
새
의 날개와 마찬가지로 윗면 앞부분은 완만한 언덕모양으로 부풀어 있고 다시 뒤쪽을 향해서 느릿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흘러들어온 공기는 날개 앞쪽 끝에서 각각 날개 위와 아래의 둘로 나뉘어져 ... ...
'과학 싹 잔치' 뒷바라지 큰 보람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과학연극 과학시범 과학토론 등을 개최했다. 이때의 '과학 싹 잔치'는 과학교육에
새
바람을 불어 넣었던 사건으로 참으로 보람있는 일이었다. 전국에서 모인 수천명의 청소년들을 보살피느라 숨도 작게 쉬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출현_쌍안경으로 발견, 3월 25일 지구 접근, 맨눈 관측 가능국제천문연맹(IAUC)은 1월 31일
새
로운 혜성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 혜성의 이름은 '하야쿠타케'또는 C/1996 B2. 일본의 아마추어 전문가 유지 히야쿠타케가 겨우 25×150쌍안경으로 이 혜성을 발견해냈다.히야쿠타케혜성은 3월부터 5월 사이에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를 만드는 대역사의 첫걸음이라 한다면 신기술과 볼거리도 중요하지만 차별과 갈등 없는
새
로운 질서를 어떻게 수립해나갈 것인지에 대해 답을 준비하는 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가능한 자율형 무인탐사로봇을 만들어 4천2백m를 잠수하는데 성공했다. 일본에서는 물
새
(Water Bird)를 개발해 1989년 수심 30m에서 실험에 성공했고, 현재 수심 4백m에서 운행이 가능한 R1을 만들고 있다. 자율형 무인탐사로봇의 핵심기술은 얼마나 목적 수행을 잘 하는가, 얼마나 깊은 곳에서 ... ...
고품질 투명비누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오래 유지한다. 즉 비슷한 성분이 있는 물질일수록 잘 섞으는 원리가 여기에 적용된다.
새
로 만든 비누가 재료로 쓰인 비누보다 투명해지는 이유는 비누가 여러 성분(글리세린 에탄올 물)에 의해 녹아버려 비누 분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균일하게 돼 빛이 투과하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 ...
사라진 황
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자동차를 조심스럽게 몰다 멈추는 일을 여러차례. 그러나 2백m 근방에 이르렀을 때 황
새
는 모두 날아갔다. 조교수는 "2월 중순까지 이곳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점심식사 후 부남호(B지구) 탐사가 시작됐다. 이곳은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