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그것은 유전자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효과를 경감하거나 역전시키는 것이다.그러나 왜 어느 때든지 암을 진행시킬 수 있는
정상
유전자가 존재해야 되는가? 한가지는 생명이 35억년 동안 있었지만 많은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이 생긴 것은 8억년 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아마도 진화가 많은 세포의 결합을 일으키고 관리하는 체계를 아직 ... ...
대학입시 과학문제 철저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명분에도 허점이 있다. 수업에 충실하고 과열과외를 방지한다는 측면(이것이 고교교육의
정상
화 명분이다)에서 교과서 내용에 근거한 출제원칙을 지키고 있는데, 바로 그 교과서가 문제가 되는 것이다.교과서 출제원칙 검토돼야인문계고등학교 생물교과서는 5종에 이르지만 한결같이 획일적이다. ... ...
하드디스크도 파괴하는 컴퓨터바이러스 완전 퇴치법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구조를 가지고 있지않고 조금 다른 디스크에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정상
적인 수행과정을 도중에서 가로채기 때문에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3일의 금요일 바이러스/PLO의 보복(?)13일의 금요일 바이러스는 88년 초에 이스라엘 헤브류 대학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이스라엘 ... ...
남극 에레버스 화산의 분출물 오존층 파괴의 주범일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채취하기 위해 가능한 분화구속의 라바에 가까이 다가가야 하고 며칠씩 산소가 희박한 산
정상
의 캠프 속에서 생활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첨단장비의 활용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에레버스 분화구에는 태양열로 작동하는 TV카메라가 분출하는 물질들의 영상을 잡아, ... ...
영상창작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초정밀기술이 필요하다. 그래서 캠코더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하면 일단 기계 전자기술의
정상
에 올라섰다고 평가된다.캠코더는 빛을 받아 카메라 내부에 상을 맺히게 하는 렌즈부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상을 맺히게 하는 렌즈부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카메라부, 이 전기신호를 ... ...
한국 중부의 터줏대감 황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우선 영양제 해독제 항생제 등으로 응급처치를 했다. 체온을 재본 결과 보통 조류의
정상
체온인 40℃ 보다 6℃나 떨어진 34℃였다. 과부황새는 몽롱한 상태에서 신음을 하면서도 어떻게든 살아보려는 듯 안간힘을 썼다.정성을 다해 간호한 덕인지 그날 밤을 무사히 넘긴 과부황새는 다음날 아침 ... ...
내 손으로 계획한 21세기의 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대전에서의 상쾌함과 신선함 그대로다. 넓게 뚫린 도로에는 러시아워인데도 지동차들이
정상
속도로 질주하고 있고, 소음 또한 거의 없다. 철수 아버지의 근무지인 오피스빌딩은 광장에서 멀지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 광장에서부터 오피스빌딩까지 잘 다듬어진 보행로는 상쾌한 출근길을 더욱 ... ...
뇌가 붙은 샴쌍동이 분리수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어려웠다"고 말했다. 수술 전 쌍동이의 뇌신경발달은 더딘 편이었는데 수술 뒤에도
정상
적인 발육은 보장할 수 없다고 '코노발로프'박사는 덧붙였다. 샴쌍동이의 탄생 이유는 아직 과학적으로 규명이 안된 상태 ... ...
겨울이 두렵지 않은 북극땅다람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빙점 이하의 체온은 그동안 어떤 포유류도 작성하지 못한 신기록이다. 예컨대 곰의 경우
정상
체온(37.8℃)보다 불과 5℃ 정도 떨어진 상태로 겨울잠을 잔다. 이 방면에서 종전챔피언이었던 마못류(woodchuck)도 빙점보다 조금 높은(1℃ 정도) 체온으로 겨울을 보냈다.저온생물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빙점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회원을 가진 이 모임에서는 지난 봄에 2천여 그루의 소나무 향나무 동백나무 묘목을 서도
정상
에 심었고, 최근 10월말에는 향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묘목 2백30주를 재차 식목했다.이들이 독도에 나무를 심게 된 동기는 독도를 확고하게 영토의 경계가 될 수 있게끔 하자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