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나무’나 ‘천국의 소년’, 이선영 작가의 ‘천년의 침묵’ 같은 국내소설에도 마방진이나 피타고라스 등이 나오니 수학을 좋아하는 독자가 재미있게 읽을 만한 책이죠. 잡학 박사: 다빈치 코드의 작가 댄 브라운은 실제로도 퍼즐을 아주 좋아한다고 해요. 한 인터뷰를 보면 브라운은 수학 교사인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부리를 휘저어 먹이를 찾는 저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서해안의 갯벌과 연안에 가까운 습지를 따라서 살다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바위로 이뤄진 무인도로 이동하지요.전세계에 남아 있는 약 3300마리 저어새 중 90% 정도가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해요. 하지만 간척사업과 도로 확장 등으로 인해 저어새가 번식할 수 있는 장소들이 계속 줄고 있어요. 또, ... ...
- [Focus News] 질소 먹고 위에 구멍, 질소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가공식품 제조 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액체질소 자체를 섭취할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질소는 1기압에서 어는점이 섭씨 영하 210도, 녹는점이 섭씨 영하 196도다. 그래서 질소가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온도는 섭씨 영하 200도 정도로 극저온이다. 액체질소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는 순식간에 ... ...
- [과학뉴스] 고인류 식인 풍습 증명할 증거 늘어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잘려진 지그재그 형태의 표식 등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런 표식들이 의도적으로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며, 식인 풍습을 뒷받침하는 결정적 증거라고 밝혔다. 크리스 스트링거 자연사박물관 교수는 “어쩌다 다른 부족의 인육을 먹게 됐는지는 아직 미스터리”라며 “먹을 것이 없어 어쩔 수 없이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200Sv 수조에서 헤엄치는 ‘리틀 선피시’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붕괴된 후쿠시마 제1원전의 훼손 정도가 예상했던 것보다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7월 20일 일본 공영방송 NHK에 공개된 수중 영상을 보면 3호기의 원자로 아래에 있던 1차 격납용기(PCV) 구조물이 완전히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꽃에 들어 있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반면 온도가 낮아지면 색이 진해진다. 이는 안토시아닌의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이 있다. 온도가 높으면 유전자 발현이 덜 되고, 결국 안토시아닌의 양이 줄어 색이 밝고 옅어지게 된다. 빛의 세기, 파장, 광(光) 주기 등도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언제부터였는지 이제 와서는 잘 모르겠다. 너는 초음파에 영 잡히지 않아서 한동안 우리를 애태웠거든. 분명 아기집은 잘 생겨있는데, 네가 보이질 않는다는 거야. 혹시나 몰라서 오줌 검사 ... 칼럼집 ‘일 못하는 사람 유니온’, 단편집 ‘악어의 맛’이 있다. 환상웹진 ‘거울’에서 ...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자뻑이 심한 사람을 ‘나르시시즘’에 빠졌다고 하죠? 자연수 중에도 나르시시즘에 빠진 수가 있다고 해요. 각 자릿수를 세제곱해서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나오는 수가 바로 ‘나르시시즘 수’예요. 나르시시즘 수를 찾는 게 생각보다 쉽지는 않습니다. 저는 딱 하나 알고 있네요. 153(=13+53+33)이요 ... ...
- [DJ CHO의 롤링수톤] 자우림의 ‘17171771’ 숫자 암호와 사랑 고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울리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자우림의 음악을 들으면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고, 혼자 남겨진 것 같은 쓸쓸함과 외로움이 사라지는 기분이 들어요. 아무도 몰라주는 내 마음을 이해해주는 내 편이 생긴 기분이랄까요? 사랑 고백 숫자 암호 17171771자우림의 음악은 다채롭습니다. 몽환적이거나 슬픈 곡 ... ...
- [과학뉴스]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멍, 쯔어 시 루어 중국 베이징자연사박물관 연구원, 데이비드 그로스니클 미국 시카고대 진화생물학위원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최근 중국에서 1억6000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 ‘마이오파타지움 푸르쿨리페룸(Maiopatagium furculiferum )’과 ‘빌레볼로돈 디플로밀로스(Vilevolodon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