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뉴스
"
영역
"(으)로 총 3,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만 내뿜는 양자점 LED 나왔다
2015.06.01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외선 양자점 발광다이오드를 적색~청색의 가시광선
영역
의 발광체에 비추는 모습(왼쪽). 연구진이 개발한 양자점 자외선을 비추자 지폐의 숨겨진 도안이 나타났다(오른쪽). - 서울대 제공 ... ...
나는 왜 생물학을 공부하는가
2015.05.31
자연을 탐구하는 것을 넘어 삶을 지배하는 철학이자 국가의 흥망을 좌우하는 중대한
영역
이 됐다”고도 강조했다. 6월 4일 최재천 국립생태원 원장을 마지막으로 올해 상반기 카오스 강연은 막을 내리니 시간을 내 강연장을 찾는 것도 좋겠다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밀착해 걷는 방법으로 이를 극복했다. 파도가 거친 지역이라도 바닥 근처의 ‘경계
영역
’은 상대적으로 물살이 약하기 때문이다. 곧 각종 테스트가 이어졌다. 원격제어실 요원들과 크랩스터 앞에 선 연구원들이 무전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했다. “앞 다리 먼저 볼게요.” “잘 안 보입니다. ... ...
[미래를 듣는다 11] “‘하이리스크-하이리턴(고위험 고수익)’ 연구에 도전해야”
2015.05.26
국가 연구과제 선정에 민간인들이 참여해 아이디어를 평가합니다. 각 혁신 주체가
영역
과 권한의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때론 협력하고 때론 경쟁하는 것이 진정한 개방형 혁신이라고 생각합니다.“ ― G7 프로젝트 이후에는 신산업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셨는데, 원인은 ... ...
[신나는 공부]대학은 당신의 ‘과거’가 아닌 ‘미래’를 궁금해한다
동아일보
l
2015.05.26
“관심분야 활동을 하다가 그 활동을 심화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영역
으로 활동이 확장되었다면 이것도 자기주도성을 증명하는 사례가 된다”고 말했다. 성균관대에서 우수 사례로 추천한 이종원 씨(2015학년도 성균인재전형으로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합격)는 ‘한국학 교수’가 꿈. ... ...
유전체 편집, 인간에게 약인가 독인가
2015.05.25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감성과 상상력 같이 인간 고유의
영역
으로 알려진 부분까지 대체해 기존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되지만 일자리 대체에 따른 실업과 자동화된 프로그램이 가져올 위험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두 기술이 미래에 미칠 ... ...
LED만 환하게 켜 두면 인터넷이 저절로
2015.05.19
했다. 특히 연구진은 서로 다른 조명끼리 연결해 하나로 동작하는 기술도 개발해 넓은
영역
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어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로봇 등에 카메라를 달아 위치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하다. 강 실장은 “먼거리에서 로봇을 조종하는 등 응용이 가능해 조명과 정보통신기술(ICT) ... ...
친구 따라 강남 간다? 꼭 그런 건 아냐
2015.05.19
fMRI)으로 실험 참가자들의 뇌를 촬영한 결과 주관적 가치를 추적하는 뇌
영역
인 복내층전전두엽피질(vmPFC)이 활성화되며 선택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정 연구원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영향을 받아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때에도 자신의 주관적 가치가 선택에서 ... ...
망상과 이상 행동 부르는 조현병 조기 진단 가능성 찾아
2015.05.17
젊은이들은 뇌의 일부 연결망이 정상인과 달랐다. 특히 정보를 뇌의 한
영역
에서 다른
영역
으로 보내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정보 전송 통로는 경로가 비효율적으로 재구성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변화가 뇌의 정보중심에 영향을 미쳐 뇌의 정보처리 기능을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방식이 송두리째 바뀌는 혁명적인 전환을 뜻하는 이 표현은 사회, 경제, 정치 등 모든
영역
에 쓰이고 있다. 하지만 원래 이 말은 과학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현이었다. 과학 철학계에 ‘패러다임 시프트’를 몰고 온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가 만화책으로 새로 나왔다.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