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로젝트"(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진작품]가난하지만 밝은 미소, 토고의 어린이들팝뉴스 l2017.06.25
- 토고는 구스타프 빌라이트가 우간다, 인디아 다음으로 방문한 세 번째 국가이다.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에 따라, 구스타프는 에웨족들의 병원, 학교, 시장, 교회 등을 방문했다. 구스타프는 자신의 사진이 세계가 아프리카 사람들의 생활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는 토고의 ... ...
- [카드뉴스]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동아사이언스 l2017.06.24
- 직급, 연봉, 주거환경, 학력 등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프로젝트입니다. 유명한 연구로 유전이나 식습관보다 직위의 높낮음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에 결정적인 변수라는 발표가 있었죠. 최하위직 공무원은 최상위직 공무원보다 사망 확률이 3배나 높았습니다.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2017 릴레이 강연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7.06.24
- 프로그램이다. 탐사 대원은 물론 관심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기강좌와 메이커 프로젝트로 이루어진다.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첫강에 참가한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의 모습.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첫 강좌의 주제는 '서식처를 잃은 동물들'로, 동물행동학자로 알려진 이화여대 ... ...
- 세계 각국의 연구쇄빙선 경쟁, 한국은?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함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에 따르면 3국은 2020년 ‘국제 공동 환북극 해양관측 프로젝트’를 비롯해 구체적인 북극 연구 분야 협력사업을 발굴하기로 했다. ... ...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⑥] 미세먼지 대책, 과학적인 대응 시스템 갖출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6.22
- 측정소 확대 역시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미세먼지 국가프로젝트 사업단장인 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인 목표가 미세먼지 저감이라면 좀 더 체계적인 방식이 필요하다”며 “가령 ... ...
- 날 흔들어 깨우는 '지각 방지용 베개', 직접 만들어 볼까?동아사이언스 l2017.06.19
- 오전 6시 30분. 일어나야 할 시간보다 15분 먼저 맞춰 둔 알람 덕분에 15분 더 잘 수 있다. ‘딱 15분만 있다 일어나야지’라고 생각하고 이 ... 어떻게 발전돼 있을지 기대된다. 작은 메이커 페어를 준비한 인천지역 영메이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과 멘토 선생님들. - 염지현 제공 ... ...
- 평범한 오브제에 눈 한 쌍을 붙이니..팝뉴스 l2017.06.18
- 전봇대, 깨진 콘크리트 구조물은 생명을 얻고 주목받는 작품이 되었다. 이 흥미로운 프로젝트의 제목은 ‘아이바밍’ 즉 ‘눈알 폭격’이다. 그런데, 신기하지 않은가? 직전까지는 아무런 느낌을 주지 않던 거리의 평범한 사물에 종이로 만든 눈 한 쌍을 붙였다고 바로 달라 보이다니? 그 이유는 ... ...
- [ESC의 목소리 (14)] 나는 왜 교양과학을 읽게 되었나2017.06.17
- 사회경제적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고, 일부 과학자는 ‘배드 사이언티스트’로 악마적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과학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가 과학과 기술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니까 과학이 소수 악마적 엘리트의 손에 ... ...
- 식물 11만 점이 자라는, 콜롬비아 공중정원팝뉴스 l2017.06.16
- 인물이다. 그는 그로노콜이란 이름의 디자인 회사와 협력하여 이 수직정원 건물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들은 아스파라거스, 로즈매리 등 열 가지 다른 종류의 식물 115,000 점을 건물 벽을 포함한 곳곳에 배치했다. 이 식물들은 모두 솔라노의 팀이 콜롬비아 서해안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 ...
- 시대를 바꾼 과학 패러다임을 찾아서...네이버 강연 프로젝트 눈길동아사이언스 l2017.06.16
-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강연회가 열린다. '열린 연단' 강연 프로젝트 과학철학 강의 일정 - 네이버문화재단 제공 올해 열린 연단은 이번 과학철학 강연을 포함, ‘패러다임의 지속과 갱신’이라는 주제로 4개 섹션, 총 34회 강연으로 진행된다. 사유 패턴의 혁신을 일으킨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