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d라이브러리
"
현상
"(으)로 총 6,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12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약물 탐닉
현상
을 완전히 억제하는 약물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최근 몇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금단증상을 완화하면서 약물을 끊게 하기 위해 중독된 약물과 작용이 비슷하나 효력이 약한 약물을 투여하다가 서서히 줄이는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단백질 분해 쪽으로 발을 들여놓게 된 과학자들이 훨씬 많다. 단백질 분해가 생명
현상
의 거의 모든 분야에 관여하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로 단백질 분해 과정은 세포의 노화와 죽음뿐만 아니라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 같은 각종 질병의 치료와 신약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최근에는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흐르면서 피부 전기저항에도 변화가 생긴다. 거짓말을 한다는 몸의 신호다. 이런 생리
현상
의 변화는 탐지기에 고스란히 나타난다.하지만 몸에 바로 센서를 붙인다고 해서 거짓말 여부가 바로 가려지는 것은 아니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밀한 준비와 엄격한 조건이 따라야 한다.일단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11
치료제로 사용될 siRNA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필요하다. RNA 간섭
현상
을 유도하는 miRNA와 siRNA 중에서 miRNA는 생명체내에서 발현돼 생성되는 반면 siRNA는 생명체내에서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목적에 따라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합성해 주입하거나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11
않는 열정 표면과학은 산업에 쓰이는 재료 표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현상
을 다루는 분야다. 물리학, 화학, 재료공학의 집합체인 셈. 현대 표면과학 연구는 시작된지 불과 20-30년. 문 박사가 표면과학에 몸담은지 벌써 20년이 넘었으니 국내 표면과학 연구를 개척한 장본인이 바로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따라 ‘케플러 초신성’이라 불린다.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최후를 맞이할 때 폭발하는
현상
이다. 밝기가 갑자기 밝아져 새로운 별이 출현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별이 죽음에 다다랐다는 마지막 신호다.흥미롭게도 케플러 초신성은 우리은하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초신성이다. 1006년 5월 낮에도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11
두 행성의 거리를 좀더 정확하게 가늠할 수 있다.뭐니뭐니 해도 금성과 목성의 근접
현상
은 천체망원경으로 봐야 가장 좋다. 망원경 관측시 두 행성을 함께 보려면 저배율로 한다. 망원경에서 두 행성이 함께 보이는 모습은 색다른 맛을 풍긴다. 더구나 망원경의 집광력 때문에 금성과 목성의 빛은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11
빛이 공기중으로 굴절돼 들어가지 못하고 다시 수조 바닥 쪽으로 반사된다. 이런
현상
을 전반사라고 한다.우리가 수조 위에서 컵을 관찰하면 물속을 진행하던 빛이 전반사돼 우리 눈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컵의 그림이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수조 옆에서 관찰하면 물속으로 전반사된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11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는 것은 전자기력 때문이다. 약력으로 인해 방사능과 핵분열
현상
이 생긴다.1970년대 초 강력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힘에 대한 기본 이론은 정립돼 있었다. 하지만 강력을 설명하는 이론을 찾기는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찾는 것처럼 어려웠다. 왜냐하면 강력이 3가지 힘과는 다른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기본단위인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활동의 거의 전부가 나노 수준에서 정밀하게 조절되는
현상
이기 때문이다. 지름이 10㎛ 정도인 세포 속에는 수십㎚ 크기의 수많은 바이오센서와 분자기계들이 작동하고 있다.세포막에 박혀있는 수용체분자는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을 인식해 신호를 전달한다.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