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고양이만의 세상이 있다고 합니다. 그곳에는 덧셈도 할 줄 알고 퍼즐도 풀 수 있는 천재 고양이도 있다는군요. 지금껏 인간 세상에 알려진 적 없는 고양이 왕국 ‘이페르’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인간 세상 너머 고양이 왕국에는…1347년, 이곳 한반도는 충목왕이 다스리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충격의 3연패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첫 대국 결과는 예상을 뒤엎고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이세돌 9단의 승리를 예측했던 것과 다르게 경기는 팽팽하게 진행됐다. 알파고는 5개월 전 유럽 바둑 챔피언 판후이 5단과 대결할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세돌 9단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행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알파고는 컴퓨터과학의 대표적인 미해결 문제인 P-NP 문제에서 우회로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감히 시도하지 못했던 복잡한 문제에까지 인공지능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질 거예요.”한보형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말했다. P-NP 문제는 1971년 미국의 전산학자 스티븐 쿡이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도 해가 뜨고, 진다. 30년 전 태어난 나는, 과거 어린 시절의 추억을 기억하고 현재를 살고 있으며, 머리가 하얗게 셀 미래가 오리라는 걸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의 직관대로라면 시간은, 순탄히 흐르는 강물처럼 보인다. 그런데 현대 물리학자들이 최근 들려준 이야기는 좀 다르다. 그들은 시간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는 판타스틱하다” 플라스마 엔지니어들은 흔히 플라스마가 기막히게 좋은 굉장한 물질 상태이며, 기상천외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이유는 이렇다. 플라스마는 그동안 기체를 사용하던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기체와 달리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악어의 전성기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였다. 트라이아스기가 끝나자 모든 것이 180˚ 바뀌어버렸다.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대부분의 악어는 절멸해 버렸고, 이들의 빈자리를 공룡이 재빠르게 차지해버렸다. 겨우 살아남은 일부 악어는 공룡의 그림자 밑에서 지내야 했다. 놀랍게도 이들은 기상천 ...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번 화는 영국 공영 방송 BBC에서 제작한 드라마 ‘셜록홈즈 시즌3’ 제2화에 등장했던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가장 궁금한점은 하객들로 북적거리는 결혼식장에서 범인이 어떻게 알리바이를 확보했는지입니다. 핵심은 대령이 입은 군복, 정확하게는 허리를 압박하는 허리띠였습니다. 범인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자에겐 고질병이 하나 있다. 건강 검진을 받으면 모든 항목에서 ‘정상’을 받을 정도로 건강한 편인데, 중요한 시험이나 면접을 앞두곤 예외 없이 배탈이 난다. 과민성 장 증후군이다. 병원에 가봐도 스트레스가 원인이라는 말 이상은 들을 수 없었다. 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라지만, 이 경우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아시나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은 도심 속 최대 수족관으로 총 650종 5만 5000마리의 생물이 살고 있어요. 보는 재미가 있고, 다양한 체험이 있어 생물을 더 자세히 알고 즐길 수 있습니다. 기자단도 다양한 체험을 하며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취재했답니다.기자단의 첫 번째 ...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책 한 권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의 개수는 그 다음으로 많이 나오는 단어의 개수와 수학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놀랍게도 긴 글에서 단어들이 나오는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해 순위를 매기면, 그 빈도가 해당 단어의 순위에 반비례하는 수학적인 법칙이 있습니다. 바로 ‘지프의 법칙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