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알고 싶은 동물의 정보를 수학모형에 넣었을 때, 결과가 다각형 안에 있다면 새라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시조새 화석에서 얻은 정보를 이수학모형에 넣은 결과, 시조새는 새에 속한다는 결론을 얻었다.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리생물학자인 토마스 리치와 로버트 싱클레어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과학관을 둘러보며 공학베개처럼 일상생활에서 공학기구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김서윤 기자는 시계추처럼 좌우로 왔다 갔다 하는 기구를 보며 “만약 세차장 솔을 이 기구처럼 만든다면 유리창을 좀 더 깨끗하게 닦을 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말했답니다.인.터.뷰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또 수평적인 시력이 뛰어난 덕분에 멀리서 천적이 다가오는 것도 비교적 정확하게
볼
수 있다.동물마다 각자 환경에서 먹이를 잘 사냥하도록, 또는 천적을 피해 달아나도록 눈동자가 진화했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다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이 드론에는 카메라가 달려 있어 드론이 찍은 영상을 땅 위에 서 있는 독자들이
볼
수 있습니다.독자들은 선생님 주변에 몰려들어 드론이 하늘에서 찍고 있는 영상을 지켜봤습니다. 누군가 “나무가 브로콜리처럼 보여!”라고 외치자 웃음이 터지기도 했습니다.이 드론에는 자신의 위치를 알 수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위치를 좌표로 나타낼 수도 있어요. 이제 삼각측량을 어떻게 하는지 자세히 알아
볼
까요?삼각측량의 가장 큰 장점은 일일이 재지 않아도 거리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이에요. 폭이 큰 강이나 높은 산이 가로막고 있을 때 직접 재지 않아도 삼각측량을 활용하면 거리를 구할 수 있어요.어때요? 지도 한 ... ...
[교육] 질서정연하게 엉켰다!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오더리 탱글’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작품이다.오더리 탱글의 매력은 예술가를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으로 기하학 작품을 만드는 실험수학자 ‘조지 하트’도 오더리 탱글을 사랑했다. 조지 하트는 도마뱀처럼 휜 종이 갈퀴로 오더리 탱글을 만들었다.정다면체의 모양을 바꿔 오더리 탱글을 만들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피해를 벗어나지 못했어요. 더르바르 광장에 있는 여러 건물과 카트만두 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었던 다라하라 타워가 완전히 부서졌지요.네팔의 슬픔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어요. 4월 25일 일어났던 거대한 지진에 놀란 가슴을 다독이기도 전인 5월 12일, 카트만두 북동쪽에서 규모 7.4의 지진이 추가로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결승선에서 경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를 주는 배인 RC선(심판선)에 타서 경기를
볼
예정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모 요트에 탈 선수를 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경기 규정에 따라 요트에 최소 4명이 타야 하는데, 어느 팀의 선수가 부족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시합에 참가하게 된 ... ...
야구는 수학 놀음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수비전략이다. 물론 위의 상황은 극단적이지만, 미국 야구에서 수비 시프트는 이제 흔히
볼
수 있는 전략이다.타석에 나온 선수는 샌디에이고의 세스 스미스다. 스미스선수의 평균 타율은 2할 5푼 내외이고 한 해 홈런 개수도 10개 내외다. 위력적인 선수는 아니지만 1점도 내줄 수 없는 상황에서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나고 다시 돌아오게 하면 처음과 똑같은 파장의 형태를 띤다. 2T초마다 정보를 열어
볼
수 있는 일종의 메모리인 셈이다. 광자 울림은 정지 빛보다 오래된 기술이다. 1960년대 처음 등장한 광자 울림은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고속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한때 큰 주목을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