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만
해산 해산의
d라이브러리
"
산과의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놀라운 번식력이 면역 가능케 해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북아메리카와 카리비아도서지방에 광범하게 퍼져있는 주머니쥐(opossum)는 대뇌도 작고 비교적 둔한편에 속하는 포유류이지만 몇가지 능력에서는 유사종을 훨씬 앞지르고 있다. 주머니쥐를 오랜동안 관찰한 동물학자들이 최근에 발표한 것을 보면 이 쥐는 번식력과 먹을 것을 찾는데에는 다른 쥐나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3cm정도의 작은 카멜레온, 한 아름이나 되는 새의 알, 희귀한 낙지나무의 숲…. 태고의 지구생물이 살아있는 대지를 본다. 마다가스카르(Madagascar)에서 자연과학연구의 제1인자인 '조지스 란드리아나솔로'씨는 강하하기 시작한 헬리콥터문의 손잡이를 꽉 잡으며 눈아래 펼쳐지는 날카로운 바위산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세계에서 18번째로 남극에 과학기지를 건설한 한국. 현지모습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본다. 백색의 사막, 인류최후의 대륙으로 불리우고 있는 남극에 우리나라 연구기지가 세워지고 있다. 지난해 12월16일 공사를 시작한 세종기지(The King Sejong Station)는 2월5일 공사를 마치게 된다. 까마득한 태고부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인간의 생명은 지구의 파멸이 없는한 확실히 연장된다. 또 뇌활동은 정지했어도 신체의 다른 기관은 활동하는 기이한 현상이 삶과 죽음의 경계를 모호히 할것이다. 한·일합방이 되던 1910년에 태어난 한길수씨는 어렸을때 초근목피로 가냘프게 생명을 이어왔으나 자신의 노력과 돈 그리고 과학의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학생시절을 생각하면 나는 동경대공습, 국대안반대소동, 전시연합대학 따위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솔직히 말해서 언제 어떻게 무슨 책으로 공부를 했는지조차 말할 수 없을 것만 같다. 그당시 나는 수학을 좋아하긴 했으나 평생 수학을 하겠다고 마음먹은 정도는 아니었다. 지금은 종합대학마다 ... ...
뇌활동이 왕성하고 성장도 잘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일찍자고 일찍일어나는 어린이와 늦게자고 늦게일어나는 어린이의 뇌활동과 체온리듬을 비교연구한 보고서를 일본토쿠시마대학의 '사노카츠노리'교수팀이 발표했다. 조사대상은 오후8시반에 잠을 자고 오전6시반에 일어나는 그룹30명과 그보다 늦게자고 늦게 일어나는 83명등 3세~5세의 1백13명.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인류의 삶을 발전시키는 도구로서 과학이 발전해왔음은 풍부한 역사적 사례로서 밝혀져 왔다. 따라서 과학문명 시대에 살고있는 우리에게 과학발전에 얽혀있는 뒷얘기는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과학이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인류역사를 살핀다는 점에서 과학을 인간사적으로 재조명한다는 의의를 ... ...
하늘에 가장 가까운 나라 티베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험준한 대산맥과 가혹한 자연 폐쇄적인 정교일치의 두꺼운 베일에 싸여 있는 신비의 고원지대 나라.티베트(Tibet)는 먼 옛날부터 '영혼이 모여드는 곳' 이라고 알려져왔다. 죽은 뒤 육체를 떠난 혼이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티베트의 상공에 모여 잠시동안 지냈다는 것이다. 그곳은 죽은자만이 엿보는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노랗게 물들기 직전의 푸른 은행잎이 약효가 뛰어나.엑기스를 추출해 성인병치료제로 개발 가을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잎-. 이 아름다운 은행나무잎속에 성인병 특효약의 원료가 감추어져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건 이미 오래된 일이다. 그러나 최근 이 은행나무잎을 둘러싸고 ... ...
예술은 과학적 상상력을 풍부히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오랜 옛날부터 사람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의 모양을 관찰해 왔다. 높은산에서 내려다보는 것이 가장 초보적인 것이었고 다음에는 기구(気球), 그리고 오늘날에는 우주선에서 내려다 본다. 최근 미국에 새로 생긴 국립항공우주박물관이 개관되었는데 이 박물관은 개관기념으로 '땅을 본다'라는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