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d라이브러리
"
안전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없이는 단 하루도 살 수 없는 현대인. 디지털 시대에 길들여져야 하는 우리의 신체는
안전
할까.회사원 김씨(34세)는 요즘 눈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시야가 침침하고 흐릿하게 느껴지는 증세가 심해졌다 싶더니 며칠 전부터는 한곳을 조금이라도 집중해서 보면 눈이 쉽게 피로하고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작게 만들어야 한다.2. 기지나 행성을 파괴할 수 있는 자폭 장치나 발전기에는 충분한
안전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또는 모든 사람들이 탈출하기에 충분한 카운트다운 시간을 줘야 할 것이다.3. 어린 아이가 혼자 돌아다니도록 내버려둬선 안된다.‘에어리언 4’에선 유전자를 이용해 인간을 복제하는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 외에도 야간 저고도항법·공격장비(LANTIRN)를 갖춰 야간 악천후 속에서도 빠른 속도로
안전
하게 침투해 정밀하게 목표물을 공격한다.라팔은 방어기능을 통합시킨 첨단 자체방어시스템 스펙트라(SPECTRA)가 눈에 띈다. 라팔의 레이더와 광학탐지장치로 수집된 정보들은 스펙트라로 보내진다.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고, 원자력발전 10배 이상의 출력을 얻을 수 있지만 핵의
안전
성과 방사성폐기물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꿈의 청정에너지’로 인식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1㎢의 바닷물만 있으면 전세계의 모든 석유를 합한 것과 같은 에너지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의 대양에는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노출될 경우는 거의 없다. 현재의 방사선 관리규정에 따르면 일반인이 방사선에 쏘여도
안전
한 양은 1년에 0.5래드다.인류 진화의 원동력?인류가 현재와 같이 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자연방사선을 꼽는 과학자가 적지 않다. 자연방사선은 체내 DNA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엄격해졌고, 금성까지 탐사선을 안내할 강력한 액체로켓이 문제로 대두됐다. 결국
안전
때문에 성능이 나쁜 고체로켓으로 대체됐고 비행시간은 1.5배로 늘어났다. 이 와중에 설상가상으로 준비과정에서 탐사선에 불이 나기도 했다.마침내 1989년 5월 발사된 금성 레이더 탐사선 마젤란은 1990년 8월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기술을 자랑한다.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는 항공기 등에서 조종사의 훈련을 좀더
안전
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1930년에 이미 시작됐다. 이후 컴퓨터 기술과 결합하면서 비행뿐만 아니라 군사 훈련과 의료 쪽의 가상현실 기술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로보틱스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의 ... ...
전자총 세례받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내성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EMS 테스트를 통과함으로써 이 제품은 외부 전자파에
안전
하다고 인정을 받는다. 여기서 외부 전자파란, 겨울철 정전기나 번개같은 자연환경에 의해서이거나, 다른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다.특히 겨울철 정전기는 휴대폰에 치명적이다. 정전기는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있는지 정확히 진단·평가하는 모니터링·해석기술과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기술, 그리고
안전
하게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지하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의 경우 지금까지 시추공을 사용했는데, 시추공 주변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어 문제가 됐다. 이런 단점을 보완해 전자파나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감염도 점차 감소 추세다. 특히 B형 간염백신은 유전공학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백신으로
안전
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그러나 아직까지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바이러스성 질병은 많다. 수혈이나 성 접촉과 같은 방식으로 감염되는 에이즈나 C형 간염의 경우가 그렇다. 이들은 RNA를 유전체로 갖는RNA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