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태풍도 폭우도 수학동아 MIE를 막을 순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8월에 수학동아가 찾아간 곳은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입니다. 태풍 ‘무이파’ 가 서해를 지나 북쪽으로 올라간 8월 9일 수학동아는 군산대를 향해 출발했 ... 강수량을 기록했어요. 9월에는 맑은 날이 많을 것 같은데, 철사 같은 도구로 자신만의 비누막 모
양
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 ...
PART 2. 수학은 놀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공부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 보였다. 그 이유가 궁금했다. 손지현(여의도중 3년)
양
에게 진짜 이유를 들을 수 있었다.“솔직히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수업 시간이 초등학교 저학년 때만 주어지잖아요. 저희도 잘 놀고 즐기고 싶죠. 그런데 이미 수학을 공부하는 것과 노는 것이 머릿속에 확실히 ... ...
PART 5. 수학은 참여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10명이 장려상을 받았다. 단체 부문에서는 포항제철중 팀이 은상을, 윤지현(대치중3년)
양
이 속한 팀외 3팀이 장려상을 수상했다.올해 열두 번째인 IMC 국제수학경시대회는 내년 대만에서 다시 열린다.마지막 에피소드 “일주일만 더 있다 가요.” 다들 아쉬운 눈치다. 공항으로 가는 길, 정들었던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권합니다. 강혜은 선생님의 ‘통계’ 정복 비법 전수!수업을 하다 보면 여러 학생들의 다
양
한 오답을 만나게 됩니다. 통계 단원도 예외는 아니지요. 학생들을 잘 관찰해 보면 저마다 일정한 오답의 습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요. 여기서 문제는 이습관이 중요한 시험 문제를 풀 때도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교수팀은 개 287마리의 직장(直腸) 온도를 측정했다. 개들은 다
양
한 종에 몸집 크기도 다
양
했다.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체온과 몸집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몸집이 큰 개가 작은 개에 비해 직장 온도가 낮았으며, 몸무게가 같은 경우에는 비만인 개가 정상체온의 개보다 낮았다.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오늘날에도 매일 100t이 넘는 우주먼지가 지구로 들어오고 있다. 1년이면 4만t이나 된다. 태
양
계가 형성되고 수억 년 동안에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혜성과 소행성, 운석, 우주먼지가 지구로 쏟아져 들어왔을 것이기 때문에 지구 표면은 유기화합물이 풍부했을 것이다.우주먼지는 별이나 행성뿐만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주위에서 중고 컴퓨터를 구해서 부품을 재활용하는 거야. 그렇게 조립한 컴퓨터를
양
로원이나 공부방에 갖다 드리면 좋은 나눔이 되지 않겠니?” 상담을 시작할 때만 해도 손톱을 깨물며 초조해 하던 L학생은 어느샌가 밝은 표정으로 선생님을 마주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하고 싶은 일을 정한다면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구성되죠.”하루 종일 수학만 공부하는 것이 힘들지는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신디
양
은 밝게 웃으며 “물론 힘들 때도 있는데 하루 동안 집중해서 수학을 공부하니, 흐름이 깨지지 않고 한 문제를 깊게 생각할 수있어서 좋다” 고 말했다.인도네시아는 한국과 다르게 7월에 새 학기를 시작한다. ... ...
수학 예술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새를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기본 도형에 곡선을 이용해 조금만 변형해도 독특한 모
양
의 타일을 만들 수 있다. 수학적인 사고와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수학 예술가에 도전해 보자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붙는다”고 설명했다. 이 구슬을 통째로 PCR(DNA 대량으로 늘리기) 해 구슬에 붙은 DNA의
양
을 늘린 뒤 용기에 모았다. 구슬은 크기가 작아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구슬에 붙은 수많은 DNA 때문에 용액은 흰색을 띤다. 이렇게 전체 염기서열을 읽을 수 있는 준비를 간단히 마쳤다.step 3 DNA 염기서열 읽기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