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간에 ‘제2의 게놈’, ‘차기 노벨상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과유불급이라 했다. 장내미생물에 대한 열광 중 과장은 없는지, 최신 연구 현황을 차분하게 되돌아봤다. 2년 전 기자는 직접 6주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도형이 다빈치가 레오나르도 돔의 설계도에 그린 도형과 일치한다는 걸 발견했어요. 이후부터 레오나르도 돔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도형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그 결과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면 손쉽게 튼튼하면서도 거대한 돔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워크숍 당일 참가자들이 ...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이 사회적으로 더 나은 기회를 잡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노예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피부색에 따른 또 다른 차별이 계속됐음이 이런 유전적 다양성 안에 고스란히 기록돼 있는 셈이다.사이먼 그라벨 교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유전적 다양성은 의료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인의 손길에 의해 명성을 얻고 역사가 쌓이면서 가치가 더해지는 것과 유사하다.2004년 이후 중국의 안후이성과 광둥성에서도 공작석을 비롯한 아름다운 구리광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위 사진 속 표본도 광둥성에서 채집된 것이다. 수집가들은 비스비 공작석에 비견될 만하다며 새로운 발견에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면이 움푹 들어가 삽 머리 같은 모양을 한 치아는 주로 아시아인에서 나타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이런 특징들을 수량화시켜 좀 더 객관적으로 추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됐다. 대표적인 결과물이 ‘포디스크(FORDISC)’라는 소프트웨어다. 머리뼈의 여러 부분을 계측해 입력하면 포디스크가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 자리에 피부세포가 변한 지느러미가 있었다. 이 지느러미에서 손가락이 진화했는지는 이후 10년 동안 논쟁이었다. 지느러미 가시와 손가락뼈는 조직과 형태가 달랐다.틱타알릭의 발견으로, 그는 육상 척추동물이 진화 과정에서 얻게 된 또다른 신체 부위인 목(어류는 목이 없다)에 힘을 줄 충분한 ... ...
- [수학뉴스] 만점 금메달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Q. 한국대표단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고 들었습니다.1995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이후 21년만에 만점 금메달이 나왔습니다. 한 명도 아니고 세 명이나요. 서울과학고 2학년 최재원 군과 세종과학고 2학년 홍의천 군, 서울과학고 3학년 주정훈 군이 그 주인공입니다. 만점은 아니지만 서울과학고 2학년 ... ...
- [지식] 들쭉날쭉 요동치는 화폐의 힘겨루기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유도 결국 금융투자자들 입장에서 원화가 불안정한 통화이기 때문이지요.브렉시트 이후 한 달이 지났어요. 사건이 터진 당일보다는 세계적으로 환율이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아직 큰 변동은 없습니다. 앞으로 환율이 어떻게 변할지 한번 예측해보는 건 어떨까요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펼치며 사업에 대한 자금을 끊었다. 계약직이었던 나는 해고 대상 1순위였다. 브렉시트 이후 연구자 중 나 같은 피해자가 또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김영수(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지금 영국을 이끌어 가는 주요 산업은 크게 금융, 관광, 영어교육 세 가지다. 제조업은 아시아에 밀리고, 패션 ...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칼로 살을 저며낸 흔적, 그러니까 동료를 잡아먹은 흔적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이 해석은 이후 연구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장례를 위한 손질이었다), 네안데르탈인이 식인종이었다는 주장은 사라졌다.그런데, 그 일이 정말 일어났습니다그런데 새로운 발견은 역사를 새로 쓰게 만든다.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