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론이 옳다고 인정하고 있다. 여러 가지 증거가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대폭발 순간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초기우주★의 모습을 보고 있다. 138억 년을 날아온 빛과학자들은 주로 빛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한다. 이런 빛은 모두 과거에서 온다. 이 말이 이상하게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라이고 과학협력단(이하 라이고) 회원 중에 수학자는 없다. 중력파 연구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오정근 박사는 “수학자들은 새로운 수학 이론을 탐구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과학적 목표 달성을 위한 라이고의 연구와는 관심사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력파 검출은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104개나 되기 때문에 웬만한 착시 도형은 모두 만나 볼 수 있어요. 그래도 부족하다면
직접
스테이지를 만들어 즐길 수 있어요.착시의 매력에 빠져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게임을 즐겼더니 착시 전문가가 된 기분이에요. 이참에 펜로즈처럼 새로운 착시 도형을 만들어 볼까 봐요. 그리고 무한회랑의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호수에도 암호가 숨겨져 있지 않을까 진지하게 고민하기도 했어요. 이는 방탈출 게임을
직접
경험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모습이에요.게임을 시작한 지 32분이 흐른 뒤 모두가 공황 상태에 빠졌어요.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단서가 쉽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결국 막혔던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공동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해 봤다. 또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영국과 독일 연구소를
직접
찾아가고, 정책 연구자와 노벨상 수상자들을 탐문해 대안을 물어봤다.결과? 성급함부터 버리자. 결과에 대한 목마름을 넣어두자. 어차피 우리는 노벨상을 기대하기에 이르다. 운이 좋으면 하나나 두 개의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지식과 기억은 설명을 듣기만 해서는 축적할 수 없다.
직접
활동하고 체험한 만큼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기억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입체도형은 구체물(실제 물건)의 조작을 통해 이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을 유발하며 닮은 입체도형에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동물)에게도 전염되지 않습니다. 공중화장실에서 옮는다?아주 드물게는 환자의 체액과
직접
접촉해 옮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2001년에 콜레라에 걸린 요리사가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오염된 음식을 손님에게 제공해 142명이 콜레라에 걸린 사건이 있었습니다.그러나 환자의 균 배출기간이 대개 2~3일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같은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뇌가 물리적인 힘을 받아
직접
적으로 주름이 생긴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졌다.주름을 알면 주름 잡을 수 있다!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때에도 뇌 주름 연구가 도움이 된다. 최근 미국과 영국 공동 연구팀은 대뇌 피질을 18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얼마나 큰 확률로 실제 생명의 진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몇 가지 사고실험을 할 수는 있다. 모든 골디락스 행성에서 지구에서와 똑같은 과정을 통해 문명이 나타났다고 가정하면, 우리은하에는 총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많은 유가족이 법의인류학센터를 찾는다. 사랑했던 사람이 어떻게 지내는지 눈으로
직접
보기 위해서다. 유가족 앞에서 뼈가 든 박스를 열 때마다 필자는 매번 긴장한다. 간혹 뼈를 보고 정신을 잃거나 감정이 격해지는 유가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은 곧 감정을 추스르고 뼈를 하나씩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