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10
알을 깨고 나오기를 마냥 기다려야 했다.11시간이 지난 오후 5시쯤, 알에서 깨어나는
모습
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 순간만큼은 줄줄 흘러내리는 땀도, 까맣게 타다 못해 익어버린 팔뚝도, 시도 때도 없이 달려드는 모기에게 물린 자국의 가려움도 잊는다.알에서 새끼가 곧 나올 것 같은데 며칠을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10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해도 노동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의
모습
은 왠지 비인간적으로 느껴진다. 대신 부지불식간에 낭비되는 군중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됐다.2007년 미국 MIT 건축학부 연구진은 걷거나 뛸 때 바닥으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10
길이 3cm의 날개가 달려 있으며 실제 파리 날개와 비슷하게 움직이도록 설계됐다. 벌레의
모습
을 본 딴 로봇은 여럿 개발되고 있지만 두 날개를 펄럭이며 실제 파리가 날아가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비행하는 로봇이 개발된 경우는 처음이다. 현재 로봇의 날개는 초당 150회 움직이는 것으로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10
피려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일까. 집파리 머리 부분에 난 강모에 꽃가루가 붙어 있는
모습
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배율 230배.솔방울과 송홧가루 하나바이오문화상·초중등부 | 류윤정·서울삼선초솔방울에 붙어 있는 노란 송홧가루 하나가 바람에 날아갈 준비를 하고 있는 걸까. 개미의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10
박태환은 어떨까. 전문가들은 박태환의 영법이 좋다고 평가한다. 박태환이 헤엄치는
모습
을 유심히 보면 다른 선수에 비해 물의 기포가 적게 생긴다. 이는 물의 저항을 거의 안 받을 정도로 수영 동작 자체가 깔끔하다는 뜻이다. 키가 크고 근력이 좋은 서양 선수들 가운데서 박태환이 열세를 딛고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10
관악산 방향으로 한참 올라가자 운동장만 한 땅에 150m 가량 길게 뻗은 단층 건물이
모습
을 드러냈다. 호기심 반 기대 반으로 건물에 들어서자 수로 위로 거짓말처럼 배 두 척이 떠 있었다. 수로의 깊이는 건물 한 층이 잠길 만한 3.5m로 바닥이 보이지 않았고, 길이는 일반 수영장의 2배인 100m로 끝이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10
다른 효소-기질 반응 모델을 고안하라. 전문가 클리닉 1) 광학이성질체는 거울에 비친
모습
같다고 해서 거울상이성질체라고도 합니다. 거울 속으로 들어갔을 때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지와 분해한 뒤 우리가 갖고 있는 수용체로 아미노산을 흡수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답안을 작성합니다. 2) ... ...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
저어 보겠습니다.”“오오…!”잠시 기다리자 소금을 넣은 쪽 물의 높이가 올라가는
모습
이 보인다.“이게 바로‘삼투 현상’이에요. 가운데에 놓인 반투막은 물 분자는 통과시킬 수 있지만 소금 분자는 통과시키지 못해요. 반투막의 양쪽은 농도를 비슷하게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는데, 반투막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10
의해 비밀리에 독일로 운송된 뒤 부활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연구팀은 토링톤이 서 있는
모습
의 사진까지 제시했다.또 미국 알코르생명연장재단이라는 곳은 냉동인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 과학자들은 2045년쯤 냉동상태에서 깨어난 최초의 사람이 나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하지만 여전히 ... ...
밤하늘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
과학동아
l
200810
달 뒤에서 다시 나타나는
모습
만 볼 수 있다.해왕성은 저녁 7시 13분 달의 오른쪽에서
모습
을 드러낼 예정이다.하지만 해왕성은 밝기가 8등성 정도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고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관측해야 한다.독자사진지난달 수상작 문경수 씨의 ‘몽골 밤하늘의 목성’. 장시간 노출해 밤하늘을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