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Very Interesting Event!)”.2015년 9월 14일 저녁. 필자는 e메일 한 통을 확인했다. 라이고-버고 연구단의 분석팀원인 마르코 드라고(Marco Drago)에게서 ...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
나
Part 3. 55년의 도전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송준섭(이하 준) 바둑을 이야기하려고 모였는데, 바둑 실력은 어떤가.한보형, 김기응(이하 한, 김) 까막눈이다. (웃음)감동근(이하 감) 바둑을 좋아해서 최근까지도 바둑을 계속 공 ...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
나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
무꾼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시험을 통과해보렴’ 모드였을 때는(내 친구라면 이 정도는 돼야! OO하지 않은 걸 보니
나
쁜 사람인 게 분명해! 등) 좋은 사람들도 다 내치고 뒤늦게 후회를 했다. 이미 버스는 떠난 뒤였다 ... ...
[Tech & Fun]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실제 1997년 발생한 이태원살인사건의 피해자 고(故) 조중필씨의 주검에서도 저항흔이
나
오지 않았습니다. 용의자로 지목됐던 미군 에드워드 리와 아더 존 패터슨과는 처음 본 사이였지요. 당시 검찰은 한번에 피해자를 제압할 수 있어 보이는 건장한 체격의 에드워드 리를 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즉 뤼카-레머 판정법을 통해 메르센 소수를 찾았더라도, 그 수의 앞뒤로 2만큼 차이가
나
는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다.뤼카-레머 판정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1950년에 미국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문제 : 위상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은?“재밌는 문제네요.”“그
나
저
나
만델브로 아저씨가 아래층에 쓰러져 있었는데 걱정돼요.”“마왕이 게임을 시작했군. 걱정 마. 네가 더 이상 도움을 받지 못하게 문제를 풀면 시간제한을 두고 위층으로 올라가는 문을 잠가버리는 거야. ... ...
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삶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기자단 페이지 시끌벅적(http://junior.dongascience.com/discuss)에서 자유롭게 이야기
나
눠 주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P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기자단 친구들은 세계에서 가장 멀리 날아간 기네스북 종이비행기 실험에 도전해 보기로 했어요. 기네스북에 오른 종이비 ... 어때요? 내가 만든 비행기가 더 멀리 날아갈 것 같다고요? 여러분도 세상에서 가장 멀리
나
는 종이비행기 만들기에 꼭 한번 도전해보길 바랄게요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우리는 매일 웃는다. 현실에서 웃을 일이 자꾸 사라져 간다지만, TV와 온라인 공간에서 각종 예능 프로그램과 웃긴 동영상을 탐닉하며 짧게
나
마 웃 ... 웃음을 창조하는 위대한 코미디언”이라고. 현대 사회에서 웃음은, 진화적 기원을 벗어
나
마음껏 그 기량을 펼치는 창조의 공간인 셈이다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같은 방향에서 보면 비슷한 특징이 많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사물을 x
나
y 같은 변수로 설정하고, 변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특징이 비슷하다고 해석하는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