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μm=${10}^{-6}$m) 안팎의 복잡한 모양을 형성한 것.연구를 주도한 케임브리지대 나노기술
센터
마크 웰랜드 교수는 나노섬유의 응용분야가 매우 넓다고 설명했다. 웰랜드 교수는 “현재 이를 활용해 방수코팅이나 신형 태양전지용 소재 연구에서 큰 성과를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그는 “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같은 연구가 몇몇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서울대 생체계측신기술연구
센터
에서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극과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를 침대 시트에 삽입하고, 침대 다리에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장착했다. 그래서 자는 동안 심전도와 호흡을 측정하고 체온이나 신체 움직임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 질병예방통제
센터
는 미국 어린이 1백명 중 12명이 소음성 난청에 시달리고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소음성 난청이란 허용치 이상의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됐을 경우 소리를 잘 듣지 못하게 되는 질병을 뜻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전세계에서 1억2천만명 이상이 소음에 의한 여러가지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좋은가, 아니면 인간을 달에 갔다 오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에 대해 죠지 마샬 우주비행
센터
장이었던 베르너 폰 브라운은 3인 우주선을 이용한 달 착륙 계획으로 소련을 이길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올렸다. 케네디 역시 인간을 달에 보내는 것이 소련을 이기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경우 지난 6년 동안 과학기술부 중점연구과제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과학연구
센터
를 중심으로 뇌신경정보학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5개 과제 중 인공시각과 인공청각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간 시청각의 뇌신경정보처리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를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발생하는 부위를 찾는 연구를, 고려대 심리학과와 언어인지기능 연구를, 건양대병원 심장
센터
와 심장질환 진단 연구를 진행 중이다.한편 지난 4월 말 이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60채널 심자도 측정장비가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에 설치돼 실제로 임상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이 박사는 “2년 정도 ... ...
다이어트에는 저탄수화물 식단이 정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쪽은 6개월 뒤부터 체중이 정체했기 때문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재향군인회의학
센터
의 린다 스턴 박사는 “과식의 대부분은 탄수화물 과잉섭취가 원인이므로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좋은 선택이라고 본다”며 “다만 신뢰도를 높이려면 좀더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바다와 사막. 서로 어울릴 것 같지 않는 단어다. 그러나 최근 ‘바다의 사막화’ 란 역설적인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수년 전부터 우리나라 주변 바다를 황폐화시키고 있는 ‘갯녹음현상’ 을 일컫는 말이다.‘백화(白化)현상’ 이라고도 불리는 갯녹음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바닷속을 들여다 ... ...
황새 자연번식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동시에 부화했다. 한편 뒤늦게 낳은 알은 29일 만인 5월 16일 가까스로 부화했다.황새복원
센터
소장인 박시룡 생물교육과 교수는 “보통 병아리가 알껍질을 뚫고 하루를 기다렸다가 나온다”며 “그런데 이번에 앞의 병아리는 이틀을 기다린 반면 뒤의 병아리는 10시간만에 알을 깨고 나왔다”고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평가한다.KAIST 총장 선출 결과가 어찌됐던 간에 그는 앞으로 임기 3년의 아·태이론물리
센터
소장으로 활동하면서 포항공대에서 석좌교수를 겸직하게 된다. 노벨상 수상자 출신 첫 교수라는 점에서 벌써부터 그를 통해 국내 물리학 부문의 비약적인 발전을 기대하는 목소리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