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옛지도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보는 일정한 간격의 방안좌표(方眼座標)를 지도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방안좌표 지도는 중국에서는 이미 남송(南宋)시대의 석각(石刻) 우적도(禹跡圖, 1136)에서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8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김정호가 작성한 청구도(靑邱圖, 1834)의 도제(圖題)를 쓴 최한기는 정조 1 ... ...
- 화석생물-신비의 삶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이후의 중생대였다. 그러나 제3기 이후 크게 쇠퇴해 거의 멸종 위기에 처해 있던 은행은 중국의 한 절에서 수 천년 전부터 재배되고 번석됨으로써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됐다. 그리고 18세기 초에는 유럽으로,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북아메리카까지 전파돼 지금은 세계 곳곳에서 ... ...
- 그림으로 보는 정보고속도로과학동아 l1995년 02호
- 난리다. 하지만 별로 요리를 하고 싶지 않은 기분. 디지털 레스토랑에 접속한 후 중국요리를 선택한다. 30분 후 운전사가 주문한 음식을 들고 집으로 왔다. 이 때도 굳이 현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다. 전자 지갑을 꺼내 자신의 계정에서 음식값과 운전사의 팁을 결재하는 것으로 끝.7:00 pm오늘 하루 ... ...
- 백두산 지질탐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24년 1898년 1900년 1903년에 비교적 소규모의 화산지진 및 화산회의 분출이 있었다는 기록이 중국 문헌에 전해진다고 한다.백두산 최상부의 백운봉기 화산분출물은 황색 흑색 백색의 부석과 화산회가 주종이며, 천지 주변의 백운봉 천문봉 정산과 천지 동남쪽 삼포 일원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 ...
- 김치·된장, 암 예방에 큰 효과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있는데, 이들을 크게 분류하면 젓갈과 생선식해로 구분할 수 있다. 젓갈은 중국의 고문헌에 의하면 생선을 식염과 메주, 맥아 등 여러 가지 다른 침장원을 섞어 담그는 예가 많았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고집스럽게도 식염만을 사용해 담그는 방법을 택해 왔다. 이 방법은 식염을 너무 많이 쓰면 맛이 ... ...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끝이 바짝 올라간 기와의 선은 일본의 건축물을 연상케 하고 지나치게 휘어진 기와선은 중국의 건축물을 연상케 하기 때문이다. 디포메이션 기법은 바로 기와의 휘는 정도를 조절해 한국의 선을 찾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선조들의 과학성 정당히 평가돼야3차원 부재들의 컴퓨터 입력이 끝난 후 각 ...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다이빙 선수들이 미국의 21살 먹은 선수들만큼이나 많은 시간을 훈련에 쏟았는데, 이 중국 선수들은 4살에 훈련을 시작했다.사이먼 박사는 "어떤 분야에서든지 특출한 기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10년간의 꾸준한 연습이 필요할 수 있다. 모차르트는 네살바기 때 작곡을 시작했지만 17세가 돼서야 명곡을 ... ...
- 발효식품 탁월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곡주(穀酒)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발효식품을 만들어 주변국가들을 가르쳐 왔다.3세기 중국 위(魏)나라 역사서는 한국민족의 장담그는 기술을 칭송하고 있으며, 일본 고사기(古史記)에는 백제사람 인번(仁番)이 그들에게 술 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실제로 교토(京都)의 ...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과학동아 l1994년 12호
- 포항방사광가속기보다는 약간 규모가 떨어지는 3세대를 작년에 완공한 바 있다. 중국 고능물리연구소는 1세대이긴 하지만 20억eV 규모의 방사광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방사광가속기 보유국가는 16개국(건설 중인 것 포함)이다.'과연'이 '현실'로80년대 후반 처음 방사광가속기 건설이 ...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변화가 바로 시간이다. 시공간을 어떻게 이해하느냐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정수이다.중국 전한시대의 회남자(淮南子)에 따르면 사방상하(四方上下) 이것을 우(宇)라 하고, 왕고래금(往古來今) 이것을 주(宙)라고 한다 했다. 그러므로 우는 공간적 영역을 말하고 주는 시간의 경과를 뜻하는 것이다.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