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제조
가공
형성
생산
뉴스
"
생성
"(으)로 총 3,5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이용해 비정규 아미노산을 포함한 형광단백질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즉 앞서 언급한 메탄
생성
고세균 메타노사르시나의 피롤라이신 담당 tRNA 유전자(물론 안티코돈 부분을 ‘GYT’로 바꾼)를 플라스미드에 넣었다. 또 이 tRNA에 아미노산 피롤라이신을 붙여주는 효소의 유전자도 넣었다(대장균에는 ... ...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12.04
직접 저장하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태양전지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생성
하는 전기량보다, 이산화탄소가 태양광에너지로 메탄을 생산하는 양이 훨씬 많다. doi:10.1038/s41467-017-01165-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유전자 치료제 해결사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부족한 경우 효소 생산 유전자를 공급하거나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면역 관련 단백질을
생성
하는 유전자를 넣기도 한다. 킴라이아와 예스카르타는 둘 다 면역세포를 강화하는 유전자 치료제다. 둘 다 방식은 비슷하다. 환자의 면역세포를 꺼내 필요한 유전자를 추가한 뒤, 이 세포의 수를 늘려 다시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유전자 치료연구 80%가 바이러스 이용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부위에 주사하는 식이다. 바이러스는 암세포로 들어가 암세포에서 면역 유도 물질을
생성
하게 만들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든다. 유전자 치료제는 바이러스를 환자에게서 추출한 비정상 세포에 넣는다. 이후 이 세포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세포 수를 늘려 체내에 투입하는 과정을 ... ...
겨울 김장 김치, 맛있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30
척도가 되는 산도는 낮은 편”이라며 “김치의 맛을 좋게 하는 류코노스톡속 유산균
생성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겨울에 담근 김장 김치는 발효를 거치며 김치의 맛을 좌우하는 '적당히 신' 맛과 여러 다른 맛들이 조화를 이룬다는 얘기다 ... ...
남성호르몬이 천식 발병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천식에 강한 것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사람과 쥐의 ILC-2세포 그룹에 난소에서
생성
되는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같은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각각 처리했다. 그 결과 사람과 쥐의 ILC-2세포 그룹 모두 여성호르몬을 처리한 그룹은 면역세포의 활성에 변화가 없었지만 ... ...
[카드뉴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 그런데 많이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문제를 일으킵니다. 고기를 너무 많이 먹으면? 몸에 필요없는 아미노산이 분해되면서
생성
된 암모니아는 요소로 바뀌어 오줌으로 배출됩니다. 이 과정이 너무 ‘과도하게 오래’ 지속되면 간과 콩팥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곡류를 너무 많이 먹으면? 포도당이 급격히 많이 흡수돼 인슐린이 ... ...
양자정보 송수신속도 10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미래 양자컴퓨터를 이욯해 도전해도 원래 사용자가 양자정보를
생성
한 방식을 모르면 양자정보를 푸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국가별로 미래 정보통신 산업을 선점하려 양자정보처리 기술 개발을 위한 속도 경쟁이 불붙고 있다 ... ...
[싱크홀 전쟁] 도로가 털썩! 도심 싱크홀, 일본 편
동아사이언스
l
2017.11.27
“기존의 하수도관 같은 매설관의 노후화 때문에 발생하는 싱크홀은 오랜 시간에 걸쳐
생성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면서 “하카타역 싱크홀 사례는 원인 발생 후에 생각보다 땅이 빠르게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이 바뀐 계기가 되었다”고 말했다. ● 15년 동안 도심 싱크홀 연구한 도쿄대 구와노 ... ...
비트코인보다 낫다? 원자번호 79번, 어떻게 만들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23
탄소나 산소 등 무거운 원소는 별이 탄생해 진화하는 과정에서 고온과 압력이 작용해
생성
됐다. 학계에선 금이나 우라늄 처럼 무거운 원소는 외계의 별이 소멸하거나 합병될 때 지구로 일부 전달됐다고 추정하고 있었다. 2016년 3월, 미국 미시간주립대 핵이론물리학과 윌토드 나자레위츠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