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5,3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02
게놈을 찾아냈다.최근에는 게놈의 크기가 훨씬 큰 미생물에서도 최소 게놈을 찾고 있다.
대표
적인 것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지난해 4월 프랑스 농업연구소의 두스코 에를리히 박사는 바실러스가 갖고 있는 4천1백여개의 유전자 가운데 2백71개가 최소 게놈이라는 연구결과를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02
센터는 기구 탑승자 엘슨과 프레스콧에게 다양한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제공했다.가장
대표
적인 프로그램이 목표고도의 환경을 경험해보는 고고도 챔버 내 훈련이다. 엘슨과 프레스콧은 고고도 비행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는 저산소증에 대비한 훈련을 받았다. 매우 짧은 시간에라도 산소가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02
낫다든지, 돌을 던지지 않는 손에도 돌을 쥐고 있어야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설 등이
대표
적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에게 물수제비는 회전하는 물체가 중력을 이기고 유체를 치고 나가는 역학문제를 푸는 것이었다.물수제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68년 미국 애머스트대 화학과에 다니던 크리스턴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02
폐기가 용이한 재료로 구성된다.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U가정 유비쿼터스 가정에 관한
대표
적인 연구 사례로 미국의 이지리빙과 스마트 하우스, 일본의 트론하우스가 있다. 이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S)가 추진 중인 이지리빙 프로젝트는 선진 기업들의 21세기 경영 전략을 엿볼 수 있는 좋은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02
사라지고 일상의 사물들이 이를 대체한다.물리적 사물과 컴퓨팅 파워를 연결시킨
대표
적인 시도는 독일의 TecO(Telecooperation Office)사가 개발한 ‘미디어 컵’(MediaCup)이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 컵은 ‘스마트 잇츠’(Smart It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기기다. 스마트 잇이란 일상적인 사물들에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01
조절중추다.시교차상핵은 우리 몸의 생체시계를 깨우는 환경요인에 반응한다. 가장
대표
적인 환경요인은 햇빛. 빛은 생체시계를 재설정한다. 그래서 시간대가 다른 나라를 가면 생체시계가 새롭게 맞춰질 수 있다. 이외에도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도 생체시계를 깨운다.시교차상핵을 구성하는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401
신원을 확인하는 음성인식도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기술이 적용돼 발전하고 있는
대표
적인 분야다. 이는 사람들이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미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에 꼭 필요하다. 인간이 컴퓨터화된 환경과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하려면 혁신적인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01
방송을 언제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다. 산책 중에는 물론 시속 1백km로 달리는 차에서나
대표
적인 난청지역으로 꼽히는 도심의 버스에서도 TV드라마 시청이 가능해진다. DMB가 ‘이동형 멀티미디어방송’이라는 또다른 별칭을 가진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DMB는 또 이동통신과 결합한 최초의 ... ...
신나는 콘서트, 즐거운 과학
과학동아
l
200401
매일 아침 독자들의 서평에 답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고 한다. YES24와 알라딘 등
대표
적인 인터넷서점에 실려 있는 독자서평을 하나도 빠짐없이 읽는 것은 물론이고, 이메일 주소를 밝힌 독자들에게는 모두 답신까지 보낸다고 한다. 그렇게 보낸 메일이 대략 2천통이라고 하니, 그 정성어린 ... ...
CO₂ 감축 약속 교토의정서 사장될 위기
과학동아
l
200401
생물종 멸종 등이 그 결과로 생각되고 있다.이산화탄소의 심각성이 부각되자 전세계
대표
들은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 모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한다는 기후변화협약에 합의했다. 그리고 1997년 일본 교토에서 구체적인 감축안인 교토의정서를 마련하는데 성공했다. 미국, 일본,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