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05
개발했다. 셀시우스의 한자 이름의 첫 글자인 섭(攝)을 따서 섭씨온도라 부른다.
처음
에는 물이 어는점을 100도로, 끓는점을 0도로 하고 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 체계였다. 뜨거울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셈이었다. 하지만 셀시우스가 죽은 뒤 지금과 같이 뜨거울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온도체계로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05
아랍 제국의 일부였던 스페인을 통해 가장 먼저 유럽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처음
부터 인도-아라비아 숫자에 호의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로마 숫자를 사용해 온 그들은 로마의 위대한 전통을 내세우며 인도-아리비아 숫자의 사용을 금지했다. 그 벽을 뚫고 인도-아리비아 숫자가 ... ...
범인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05
수학탐정 : 그렇군요. 그럼 원래 식당에 있었던 찻잔이 몇 개였는지 확인해 보죠. 맨
처음
식당에 있던 찻잔의 수를 x라고 하면 찻잔의 총 수는 x+2가 됩니다. 여기서 3개의 잔에 홍차를 따르고 남은 잔이 4개이므로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 ㉢ )가 됩니다. 이 식을 풀면 원래 식당에 있던 찻잔의 수는 ... ...
반짝반짝, 적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은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을 우주로 보냈어요. 이번에 공개된 안드로메다 은하 사진은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이
처음
으로 찍은 사진이랍니다. 파란색 별은 성숙한 별이고, 노란색과 빨간색은 뜨거운 우주먼지 속에서 새로 태어난 별을 나타내지요.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은 앞으로 6개월 간 우주를 돌며 약 100만 장의 사진과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잘못해서 화석을 찔러 망가트리면 안 되기 때문에 섬세한 손놀림이 필요한 작업이란다.
처음
에는 큰 송곳으로 암석을 대충 부수고, 화석에 가까이 갈수록 작고 뾰족한 송곳으로 살살 발굴 작업을 해야 해. 발굴을 하는 과정에서도 이미 드러난 화석이 부서지지 않도록 화석 전용 본드나 석고로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
수학동아
l
201005
따뜻한 햇살이 기분 좋은 어느 봄 날. 신기할 만큼 한적하고 여유로운 종로 가회동 골목길을 걸었어요. 흔히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죠? 하지만 이렇 ... 문화와 역사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기울인 세계사 안내서. 세계사를
처음
접하는 어린이들에게 도움이 될 거예요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05
험프티 덤프티라고 하네요.그런데 험프티 덤프티와 대화하는 것도 만만치가 않습니다.
처음
에는 앨리스라는 이름이 형편없다고 시비를 걸더니 또 생일이 아닌 날에 받을 수 있는 ‘비생일 선물’이 있다고 우깁니다. 단어를 멋대로 쓴다고 앨리스가 반박하자 험프티 덤프티가 한 말이 “내가 어떤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05
여러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한 ‘행렬’은 영국의 수학자 실베스터가 1848년에야
처음
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지요. 이처럼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하는 방법은 수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동양의 산학이 수를 사각형으로 배열하게 된 기원은 ‘낙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피해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이 재미있는 아이디어는 1974년 미국의 레오나드 볼 박사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뇌운과 피뢰침 사이를 레이저광으로 연결해 낙뢰가 발생하기 전에 뇌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뇌운에서 빠져나온 정전기는 레이저가 만들어낸 플라스마 통로를 따라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05
수 있기 때문이다.국내에는 로켓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액체로켓 엔진 기술을
처음
부터 다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한 차례 더 발사할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상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교과부는 나로호가 실패할 경우 최대 3번까지 동일 발사체를 쏠 수 있도록 러시아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