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만들기 위해 전기전자나 나노기술 분야, 이 외에 기계분야 화학분야 등 여러 분야가
공동
으로 작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위암. 간암 정복을 꿈꾼다-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은 과학기술부에서 추진중인 야심작으로 21세기 국제사회에서 경쟁할 수 있는 우리만의 강점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주요 임무는 수t급의 위성을 저지구궤도에 발사하는 일이다. 좀더 큰 규모의 위성발사는
공동
발사장이나 해상발사 등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는 운영의 묘를 살린다면, 충분히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우주발사기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유인비행 가능한 우주센터는 단 두곳전세계적으로 위성발사를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미소로 죽음을 맞이하면서 영화의 마지막을 장식한다.한국영화 사상 최고의 흥행작인 ‘
공동
경비구역 JSA’에서도 남성식 일병(김태우 분)은 북한군 초소에서 벌어진 남북병사 총격전 이후, 심한 정신적 충격으로 자살을 시도한다. 이 장면 역시 전쟁후 증후군 환자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물질이 피드백을 통해 조절되는 생명체의 특성을, 6장 발생에서는 세포끼리 서로 긴밀한
공동
체를 이루며, 수정란이 태아로 변모하는 생명의 발생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7장 진화에서는 생명체가 오랜 세월 동안 어떻게 변하고 적응해가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사업화 집단의 양대 축을 구성해 산업전략과 기술개발전략을 연계하고, 이를 위해 국제
공동
연구 등 개방형 산학연 협력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과제관리시스템 등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 도입해 활용하고, 기업 현장을 개방해 새로운 산학연 협동체계의 틀을 구축할 계획이다.사업단의 과제는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시스템 등 데이터마이닝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가 있다. 특히 상품추천의 경우
공동
필터링이라는 기술이 핵심으로 이 역시 데이터마이닝 기법이 적용되곤 한다. 그리고 웹 로그온 자료로부터 고객들의 웹 서핑 흔적을 분석하는 웹마이닝(web mining)도 새로운 데이터마이닝 주제이다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더라도 그 수가 부족하다. 포유류가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이유다. 이것은 포유류의
공동
조상이 색깔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야행성동물이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알몸을 감상하는 뱀에덴 동산에서 불미스러운 사건(?)을 만든 뱀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상을 보고 있다. 뱀은 인간이 볼 수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발표해 한방을 먹이더니 1월에는 스위스 신젠타사와 미국의 미리어드 지네틱스사가
공동
으로 벼게놈지도를 완성했다고 발표해 버렸기 때문이다. 염기서열분석 작업이 한창인 참여국들로서는 낭패가 아닐 수 없다.결국 지난달 일본 쯔꾸바에서 있었던 모임에서 컨소시엄은 올해 안으로 벼 염기서열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추구해야 할 성배 중 하나로 인공효소를 꼽았다. 유럽 연합 국가의 6-7개 대학이 연합해서
공동
연구를 하는 것을 비롯해 요즘 전세계적으로 인공효소에 관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서정헌 교수가 있다. 서교수는 앞으로 주문제작형 인공제한효소를 만들 야심찬 계획을 세워놓고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연구대상이 아닌 것처럼, 나노과학이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다방면 전문가들의
공동
연구를 필요로 한다. 그야말로 21세기는 통합의 세기인 셈이다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