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밤 VS 도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헷갈려요~!부모님과 함께 등산을 했어요. 길에 작은 밤이 많이 떨어져 있어서 주웠는데, 엄마께서 밤이 아니라 도토리라고 하셨어요. 매 ... 많아서 날것으로 먹을 수 없어요. 그래서 도토리 알맹이를 갈아서 가루로 만든 것을
물
에 담가 떫은맛을 없앤 뒤에 묵이나 떡을 만들어 먹는답니다 ... ...
누가 해수면 높이를 묻거든 호주를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해수면 높이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지구의 해수면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물
의 부피가 늘어나고 빙하가 녹는 현상 때문에 계속 높아지고 있지요. 그런데 지난 2010~2011년 사이에는 7㎜ 낮아지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어요.연구팀은 이 시기에 호주에 대홍수가 발생했다는 사실에 ... ...
사쿠라지마 화산 분화, 백두산도 언젠가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통로가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지요.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화산재뿐만 아니라 천지의
물
이 증발하며 생긴 뜨거운 수증기 때문에 일반 화산보다 더 심한 피해가 일어날 수 있어요. 이런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백두산 분출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만들 예정이랍니다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곤충이 있다. 노린재목에 속한 소금쟁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그런데 이 소금쟁이를
물
에 빠뜨릴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 있다. 어떤 방법일까?도전! 골라볼래의 진정한 우승자“네~, 대단합니다. 최종 우승자는 바로 썰렁홈즈~!”썰렁홈즈가 퍼즐을 맞히거나 사건을 해결하기는 했지만 이렇게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한 덩어리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왜 우리 눈으로는 얼음 위의
물
층을 볼 수 없을까?
물
층이 돋보기로도 안 보일 정도로 엄청나게 얇기 때문이다.스케이트 날의 압력으로 얼음 표면이 녹는다는 설명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 전해진 속설이다. 사람 몸무게로 스케이트 날에 줄 수 있는 압력 효과는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밖에 번개가 치면 실내에서는 창문과 출입문을 닫고 전기제품, 금속가스관과 같은
물
체로부터 1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욕실설비는 전기가 통하기 쉽기 때문에 가급적 샤워를 하지 않는 편이 좋다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경우가 있다. 몸의 산소가 부족하면 손톱 끝이 파래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봉숭아
물
을 들인 손톱을 뽑을 필요는 없다. 산소 부족을 확인하는 다른 방법이 많기 때문이다.특집 한걸음 더! ‘엄마 어렸을 적에’ 괴담을 들려 주세요~.“아웅, 집에 가기 싫다.”“난 어서 집에 가서 쉬고 싶은데. ... ...
모기 VS 각다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시작한 모기 갤니퍼는 일반 모기 크기보다 무려 20배나 더 커요. 엄청난 흡혈 능력 때문에
물
리면 아프기까지 하다니 정말 후덜덜하네요. 각다귀‘각다귀’는 모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피를 빨지 않는 곤충이에요. 각다귀는 우리나라에 28종이 사는데 가장 큰 장수각다귀 수컷은 크기가 34㎜나 ... ...
물
놀이 안전, 명예기자가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야호~! 드디어 우리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여름방학이야! 방학을 맞아서 이번 취재 장소도 워터파크! 신난다~!파도풀에 미끄럼틀까지 정말 재밌겠다~. 워터파크로 취재 ... 주변에 도움을 청하세요. 그리고 주변에 있는 도구를 이용해 구조해야 해요. 그럼 이제 신나는
물
놀이를 즐겨 봐요~ ... ...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많이 알 수 있지요. 글에 쓴 카이스트의 연구 결과도 ‘미생
물
이용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전환’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고 알게 된 거예요.내년 13회 대회를 준비하는 친구들도 이 글을 읽고 있을거예요. 이 친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야기 부탁드릴게요.논술대회라고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