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서둘러 문으로 향했다.기하학의 아버지기나긴 통로를 지나 눈앞에 보이는 문을 열자
새로운
공간이 나왔다. 하늘에는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같은 여러가지 모양의 2차원 도형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아래로 시선을 돌리자 한 남자가 끝이 보이지 않는 긴 직선을 따라 하염없이 걷고 있었다. 그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결핵균 항체가 금방 사라졌는데도 불구하고, 젖을 뗀 생후 12주 된 새끼의 림프절에서
새로운
결핵균 항체가 생성됐다. 이 효과는 생후 1년까지 지속됐다. 연구팀은 새끼의 림프절이 모유에서 전해진 결핵균 항체의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기존에는 모유에서 직접 전해진 항체가 아기의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천문학자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10배나 많은 은하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크리스토퍼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처리 시스템 연구에 뛰어들어 작용 과정과 관련 유전자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할 수 있게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선구자다. 오토파지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이유다.*세포의 항상성 - 세포가 조절 반응을 통해 환경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고장 난 오토파지 고치면 난치병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데 성공했다는 것만으로도 꽤 만족스러운 실험이었다. 몇 년 뒤 마스2020이 화성에 착륙해
새로운
발견에 성공한다면 우리는 아마 이날의 추억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방사선을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퇴치에도 siRNA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miRNA와 siRNA는 작은 RNA의 전부가 아니다.
새로운
작은 RNA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생명과학계의 또 다른 화두인 ‘유전자 가위’ 기술에도 작은유도RNA(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 ...
[Tech & Fun] 더 이상 ‘이불킥’은 하지 말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스스로 생각하고 적어보게 했다. 곱씹기를 유도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참가자에게
새로운
실험을 함께 할 파트너를 소개했다. 이때 일부러 발음을 부정확하게 하거나 짜증을 냈다.관찰 결과 곱씹기를 한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의 실수를 훨씬 빨리 알아채며, 더 크게 화를 내고 공격적으로 반응했다.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알게 되고는 계획을 백지화한 에피소드가 유명하지요. 저는 ‘뉴로폴리틱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뇌공학과 현실정치를 연결하는 겁니다. 어느 정도 구상이 구체화됐을 때 박사과정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할 내용은 아니었거든요.”“전화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액체, 그리고 고체도 물질의 상태다. 그런데 20세기 후반, 이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물질이 실험실에서 발견됐다. 통념적으로 알고 있는 물질의 상태가 아니었다. 이런 물질을 설명하는 데는 수학이 필요했다. 물리 이론을 설명하는 데 수학에서 말하는 위상적인 성질이 중요해진 것이다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