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파괴하기 위해서는 5~10MW의 출력이 필요하다. 물론 건물을 파괴하려면 그것보다 10배 이상 큰 100MW급 레이저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순간 발전량이 1000MW 정도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에너지다. 하지만 슈퍼맨처럼 눈이라는 작은 면적에서 고출력 레이저를 발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암컷 위에 올라타고 교미하는데, 이조차도 반대였다. 연구팀은 시상식에서 “이제 더 이상 단순히 페니스를 가진 개체를 수컷이라고 말할 수는 없게 됐다”고 말했다(doi:10.1016/j.cub.2014.03.022). 인간의 피가 흡혈박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엔리코 버나드 브라질 페르남부쿠연방대 동물학과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플랑크 상수를 측정해야 하며, 5×10-8 미만의 상대불확도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가 3개 이상 있어야 한다. 그중 하나는 2×10-8 미만의 상대불확도를 가져야 한다. 둘째, 플랑크 상수를 측정하는 기술인 키블 저울과 XRCD를 이용해, 국제킬로그램 원기와 나라마다 사용하고 있는 복제본의 질량을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최초로 5가지 방법을 찾은 이래 2015년까지 총 1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거든요. 이제 더 이상 볼록 오각형 테셀레이션의 새로운 방법을 찾겠다고 매달릴 필요가 없겠죠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없으며 양면이 있는 곡면은 모두 구멍이 없는 도넛과 구멍이 한 개인 도넛, 구멍이 두 개 이상인 도넛 이렇게 세 개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곡면의 성질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자에게 도넛이 사랑받는답니다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어야 합니다. 레먼에 따르면 그래프에서 색칠한 변이 겹치지 않는 생성나무를 두 개 이상 찾을 수 있으면 쇼트가 항상 이길 수 있어요. 점과 변이 많은 그래프에서는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찾기가 어려우니 위에 점이 총 4개, 변이 6개인 그래프에서 정말 쇼트가 이길 수 있는지 확인해 볼게요. 물론, ...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토양으로 배출돼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해외 연구진이 섭씨 1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석면을 녹여 유해성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했지만 처리 비용이 만만치 않다. 연구팀은 1500도보다 훨씬 낮은 100도 이하에서 1~2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면 석면의 구조를 변형시켜 유해성을 제거할 수 ... ...
- [과학뉴스] 국제산불저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78km2에 건물 약 5700여 채가 소실됐으며, 이재민 약 10만 명이 발생했다. 사망자도 최소 4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산불 진압에는 소방관 1만1000명과 소방차 880대, 소방 헬기 14대가 투입됐지만 산불 발생 10여 일이 지나도록 진압하지 못했다(10월 18일 기준). 국제산불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Wil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용했던 규모식에서 문제점을 발견해 현재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상적으로는 어떤 계산법을 택하더라도 지진 규모 값이 같아야 한다. 하지만 관측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고, 아직까지 지구 내부의 지진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불완전하다. 특히 핵실험으로 생기는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분석해 나노복합재료의 특성을 조사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그래핀이 강철보다 10배 이상 방탄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아내 ‘사이언스’ 2014년 11월 28일자에 발표했다. 가볍고 강한 방탄재료는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