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엄정
정확
비밀
기밀
정밀
d라이브러리
"
엄밀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리(定理)속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과학동아
l
199009
연결 관계 속에서 일정한 정리들로 도출된다. 정리들을 끌어내고 증명하는 과정은
엄밀
한 연역적 과정이며 한치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정리들은 구체적인 문제에 응용되어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우리가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리의 ... ...
스모그로 소문난 「공해의 도시」런던 LA 서울
과학동아
l
199005
로스앤젤레스형인지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서울의 스모그는
엄밀
히 말하자면 런던형 스모그나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의 특징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1백만대의 자동차가 변수로최근 신문지상에서 서울의 아황산가스 오염도가 세계 3위라는 보도가 나왔다. 대기오염의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11
일정 주파수의 전자음을 25∼30일 동안 발사한다.이번에 문제가 된 도청장치 '블랙박스'는
엄밀
한 의미에서 블랙박스라고 부르기는 어렵다. 단지 '은밀히' 설치됐고 용도가 베일에 가려져 있으며 '검은귀(도청)'일 가능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블랙박스라 명명했다.정식명칭이 '비음성통신 전송품질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10
그래서 우리는 흔히 측우기의 발명 시기를 1442년 5월 8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엄밀
하게 말하면 1441년 8월 18일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1년전 가을에서 이듬해 초여름에 이르는 사이, 측우기에는 몇가지 중요한 개량발전이 있었다. 무엇보다 빗물을 받아서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기의 이름을 '측우기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10
소위 '한글인식시스템'에 과한 연구가 바로 이것이다.일반적으로 인식시스템 혹은 보다
엄밀
하게 패턴인식시스템(pattern recognition system)이란 입력되는 자료의 중요한 특징들을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부류(class)들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말한다.이때 입력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도 괜찮다. 따라서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06
있음을 믿었던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들의 믿음이 서양과 달랐던 것은 이 질서를
엄밀
한 자연법칙으로서가 아니라 훨씬 모호한 이(理), 태극(太極)등의 개념으로 나타냈다는 것 뿐이다.불이 나지 않은 까닭결국 "왜 중국에서 근대과학이 발전하지 못했나?"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모두 미흡한 ... ...
컴퓨터인물/전자통신 연구소 오길록박사 중형컴퓨터개발 어떻게 돼 가나
과학동아
l
198906
전에는 그냥 '컴퓨터'라 불렀었다.유감스럽게도 중형 이상의 컴퓨터는 국산제품이 없다.
엄밀
하게 말하면 핵심부품이나 기술을 수입해 껍데기나 주변장치를 씌워서 국산상표를 붙인 것은 있지만 순수국산기술은 아니다. 따라서 당연히 이 분야에는 IBM 후지쯔 DEC HP 등 외국상품들이 범람하고 일년에 ... ...
내일의 자동차 세라믹차는 어떤 것일까
과학동아
l
198906
엔지니어링 세라믹스 재료는 전통 세라믹스 재료들에서 나타나는 잘 깨어진다는 단점을
엄밀
한 제조공정의 관리로 보완, 금속과 같이 어느 정도 질긴성질을 나타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따라서 만일 엔진의 연소실 부분(피스톤 피스톤실린더 엔진헤드 등)을 이 엔지니어링 세라믹스 재료로 ... ...
병렬처리 컴퓨터
과학동아
l
198905
기존의 단일처리기(single processor)에 대치되는 말로 시작되었다. 단일처리기에 대치되는
엄밀
한 용어는 다중처리기, 또는 다중프로세서(multiprocessor)로서 한개의 처리기 대신에 여러개의 처리기로 더많이 처리해보자는 단순한 동기이다. 즉 한사람이 일하는 것 보다 여러사람이 일을 나누어 하면 더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04
방식을 따르고 있지 않는 듯하다.바둑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바둑을 둘 때 컴퓨터는
엄밀
한 논리의 법칙을 따라서 한수 한수가 야기하게 될 전세의 유리함과 불리함을 다 따져서 가장 좋은 수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런 것을 따져 볼 충분한 시간이 없다. 컴퓨터가 이런식으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