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086건 검색되었습니다.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2
- 곳이다. 쿠퍼는 이 공간 안에서 자신의 과거와 머피의 현재 상황을 지켜본다. 위치와 장소를 자유롭게 옮겨 다닐 수 있지만 파동이나 빛, 전자기력으로는 시공간에 영향을 줄 수 없다. 가능한 것은 오직 중력뿐이다. 쿠퍼는 중력을 조절해 책이나 모래를 떨어뜨려 머피와 과거의 자신에게 의사를 ...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12
- 적색 LED는 같은 원리로 백색 LED를 만들 수 없느냐”고 물었다. 올해 생리의학상 주제였던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차이를 설명하던 곽 교수에게 “철새는 특히 위치를 기억하는 세포가 발달했을 것 같은데, 연구한 논문이 있느냐”고 묻는 참가자도 있었다.과학동아 카페에 참석하기 위해 경남 ...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12
- 판타지 소설에 나오는 ‘포털’과 비슷하다. 문을 통과해 나가면 아주 멀리 떨어진 장소에 나타나는 식이다. 영화 속 탐사대는 웜홀을 지나 다른 은하계로 건너가 지구를 대체할 새로운 행성을 찾는다.웜홀은 1935년 아인슈타인과 그의 제자 네이던 로젠의 아이디어에서 발전된 개념이다. 그래서 ... ...
-
- 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수학동아 l201412
- 대부분 물음표로 끝난다. 새까만 구멍? 뭐든지 삼키는 공간? 아니면 영화에서만 나오는 장소? 최근 개봉한 영화 를 재미있게 봤다는 의외의 대답도 있었다. 그렇다면 질문은 뭐였을까?“블랙홀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12
- 세계선은 공간 속의 어떤 물체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알 수 있는 선이다. 예를 들어 한 장소에서 평생 움직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의 세계선은 단지 위로만 뻗게 된다. 나아가 민코프스키는 두 원뿔을 추가해 이 개념을 확장했다. 현재의 공간을 상징하는 평면 위, 아래에 두 개의 원뿔을 ... ...
-
-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과학동아 l201412
- 주범으로 꼽히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하지만 이산화탄소 농도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여름과 겨울 등 계절에 따라서도 변동이 컸는데, 그 동안 그 이유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원인이 ‘농사’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와 미시간주립대 ...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12
- 퍼즐을 풀어야 열리는 문이에요.”박 형사와 소마의 말을 들은 왕 반장은 또 다른 비밀장소가 있고, 변 이장이 얼마 전에 이곳에 있었다는 걸 확신했다. 왕 반장은 소마에게 서둘러 스도쿠 퍼즐을 풀라고 지시했다.거대한 미로가 나타나다!“윤소마! 시간이 없어. 이제 10초 남았어! 어서 스도쿠를 ...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11
- 수 있다.우주공간이나 심해, 또는 방사능 오염 지역과 같이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힘든 장소에서도 기계의 모양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미래가 머지않았다. 고이 접어 나빌레라!코료 미우라 일본 도쿄대 교수는 1970년에 마루와 골이 번갈아 나타나도록 가로 세로로 주름을 접어 크기를 줄이는 ...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11
- 수 있었다.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최신 기술 경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장소세포 논문을 3쪽 분량으로 ‘브레인 리서치’에 투고했는데 거절당했다. 실험 방법과 아이디어가 너무 생소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비판적인 시선에서 검증하는 것은 당연하다. 내 연구도 그런 ...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11
- 관찰한 것이다. 장소 정보처리를 위한 신경신호가 어떻게 생성되고, 장소와 격자세포가 장소 정보처리에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뇌 과학자뿐만 아니라 해부학자, 생리학자, 공학자, 컴퓨터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