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억
회상
기억
추상화
d라이브러리
"
추상
"(으)로 총 33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08
마침내 그는 마빈 민스키의 프로그램이 내는 무늬들은 너무 수학적일 뿐 아니라
추상
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보다 멋진 해크를 계획하게 됐다.그는 동료 해커들과 토론을 벌여 당시 그들 모두가 심취하고 있었던 E. E. 스미스의 SF(공상과학소설)에 등장하는 멋진 우주 활극을 모델로 하는 게임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08
들어보자."기하학적 사실은 물리학상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실험에 의해 검증돼야 한다.
추상
적인 개념은 그것만으로는 아무 의미가 없고 현실세계와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즉 실험이 꼭 뒤따라야 하며, 단순한 논리적 추측만으로는 불충분하다."그렇다. 볼리야이나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03
튜링(Turing)은 복잡한 문제를 풀어나가는 지적사고의 과정은 정신세계에서만 가능한
추상
적이고 불가해한 과정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아무리 복잡한 데이터라도 극히 단순한 이진법의 기호(symbol)로 기술될 수 있으며, 이 기호들을 수학적 논리로 변용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서, 지능(intelligence)의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03
질문을 던질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의식에 대해 '영혼'이나 '혼'과 같은
추상
적인 개념이 아니라 생물학적인 개념에 바탕을 둔 새로운 이론들이 나오고 있다. 뇌 구조 해명의 열쇠잠재의식에 대한 개념은 19세기말 한 스위스 심리학자에 의해 최초로 제기됐다. 그 심리학자는 바로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03
개념이었다. 이 프로젝트를 총지휘했던 후치카즈 조차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가
추상
적인 목표를 가졌었다'고 털어놓을 정도였다. 10년이 지난 현재 이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원래 의도했던 AI의 구체적인 실현은 기대에 못미쳤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계기로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03
능력을 도형적 인식력이라 한다. 그러므로 도형적 인식력은 형태가 있는 것뿐만아니라
추상
적인 사항도 한장의 평면적인 도형으로써 도형화할 수 있다. 도형적 인식력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일의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작성해보거나 암기 할 내용을 도식화하면, 이해도 빠르고 기억에도 도움이 된다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02
수천년의 역사가 필요했다. 세마리의 양, 밀가루 세항아리, 사과 세개 등에서 공통적이며
추상
적인 특성인 3이라는 개념은 사실 무척 어려운 개념이다. 우리들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원시인 모자(母子)는 숫자를 모르고서도 별탈없이 양을 돌볼 수 있었다. 그러나 재산이 점점 불어남에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02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시각과 청각장애자들은 사고력이
추상
적이기 보다는 구체적(concrete)이므로 낮은 점수를 얻게된다. 그러므로 지능점수를 고려하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할 기회를 애초부터 박탈당하게 된다. 교사는 학교생활에 순응하는 학생을 영재아로 지명하는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01
흥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세계를 둥글다고 생각한 조선시대 학자들에게는 원(圓)속에
추상
화된 세계지도가 오히려 자연스러웠는지도 모른다. 20종류나 될 만큼 조선시대에 가장 많이 만들어져서 널리 퍼진 세계지도이긴 하지만, 천하도는 조선시대의 지리학적 지식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지는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11
연구자들은 유인원을 보통 원숭이와 사뭇 다르게 취급했다. 이를테면 유인원에게는
추상
적이고 관념적인 내용을 알아들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반면 보통 원숭이는 특정 자극에 대한 특정 반응의 연합을 통해서만 재주를 익히게 할 수 있다고 여겼다.양자택일식 식별문제를 눈으로 보고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