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양대학교
한양대학
한대
d라이브러리
"
한양대
"(으)로 총 299건 검색되었습니다.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06
생체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이 발표됐다. 서울시립 강남병원 이근덕박사를 비롯
한양대
의대 남정현교수, 순천향 의대 김창진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 실험결과에 따르면 VDT에 1주일동안 노출시킨 흰쥐는 자연상태의 흰쥐보다 카테콜라민 농도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는 것. 카테콜라민은 ... ...
「혼돈속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199005
브레멘대의 파이트겐교수 등이 초청돼 주제발표를 맡게되며, 국내에서는 김용운교수(
한양대
·수학) 박찬모교수(포항공대·컴퓨터그래픽)가 연사로 참석한다.또 세미나기간 중에는 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 프랙탈이론에 의한 그래픽작품 60여점도 함께 전시된다.정보문화센터는 서울 세미나가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04
등장했다.20대의 대학생, 대학원생들인 이들은 안철수씨(서울대대학원) 김한수군(
한양대
) 박승제군(서울대) 등 4~5명.김한수군은 (C)브레인에 이어 나타난 LBC바이러스(김한수군이 독자적으로 명명, 국내에서만 발견됨)를 최초로 발견하고 이에 감염된 하드디스크상의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03
첫 졸업생을 낸 과기대 출신이 1백16명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한양대
연대 고대 출신들의 진출도 눈에 띄게 늘었다. 이는 과학기술원의 대덕이전으로 서울출신 우수학생들의 지원이 줄어들었고 서울대의 경우 자체 석·박사 과정이 크게 늘어나 굳이 과학기술원을 가지 ... ...
아마추어무선 연맹
과학동아
l
199002
차지하는 1백여개의 각 대학 햄서클들은 대학햄연협회를 조직하고 있다. 그중 광운대
한양대
고려대 등은 전통이 있고 회원수가 많기로 유명하다. 특히 대학햄의 선두인 광운대 햄서클은 이미 지난 86년 20만번 교신을 돌파했다.햄회원중에는 2백여명의 여성회원들도 활동하고 있고, .83년 ... ...
'민중의 윤리의식을 고취하는 정보화사회'
과학동아
l
198911
주최한 세미나가 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이날 강사로 나온 김용운 교수(
한양대
대학원장)는 "우리 민족이 지닌 강한 생명력, 근면성과 순발력에 우리에게 결여된 보편성 공개념 세계의식만 갖춰진다면 정보화사회에 크게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문화협의회는 지난해 5월 ... ...
전국 대학생소프트웨어전시회 한글처리와 통신분야가 인기
과학동아
l
198910
"NCA회장을 맡고 있는 김성천군(
한양대
전산학과 3년)의 설명이다. 컴퓨터로 복음전도
한양대
스터디그룹 '0&1'팀이 개발한 한글DTP(데스크톱출판시스템)는 기존 워드프로세서와는 달리 그림 도형 도표 등을 문자와 같이 편집할 수 있게 만들어진 점이 특징. 이에 따라 의미 전달이 보다 확실하고 좀더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09
본격화되었으며 교육용 컴퓨터소프트웨어의 개발도 서두르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과
한양대
학교 컴퓨터교육연구소에서도 교육적으로 질 높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CAI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컴퓨터메이커들과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들이 CAI ... ...
환경과 공해연구회
과학동아
l
198909
서울대 공업화학과) 황상익교수(서울대 의대) 신동천교수(연대 의대) 조중래교수(
한양대
교통공학과) 김환석박사(과학기술연구원) 윤종현변호사 등 8명이 전문위원으로 위촉돼 있다.이들의 면면을 보면 거의 30대중반의 소장학자(김정욱교수만 40대)들로서 토목 미생물 화학 의학 법학 교통 과학정책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08
알려졌다.화상에 의한 피부손실을 해결하기 위한 인공피부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한양대
공업화학과 김계용교수팀은 최근 젤라틴과 키틴을 합성,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인공피부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인공피부는 화상이나 상처로 손상된 피부에 얹혀, 외부로부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