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손
불리
해
공동해손
공동
단독해손
단독
d라이브러리
"
훼손
"(으)로 총 314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09
높지않아 번식에 별 어려움이 없다. 전문가들은 이 양식어들이 자연적인 유전자풀(pool)을
훼손
할 뿐 아니라 야생어들이 유전자를 변화시켜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손상시킬 것이라고 예견했다.생태계교란이 위험수준에 이르렀다는 판단이 내려지자 곧 기존의 정책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08
쉽게 파묻힐 수 있는 퇴적환경과 저층에 상존하는 차가운 수층이 있어 목재 선박들이 큰
훼손
없이 보존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다른 바다와 비교해 수심이 얕아 탐사가 용이할 수도 있다. 지중해가 개척자들의 끝없는 노력에 의해 서양 고고학의 보고가 된 것처럼, 황해에서도 역사가 우리의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07
쌓이게 된다.이런 전하를 덩어리째 고스란히 외부로 들어낼 수 있다면 화상정보를
훼손
없이 옮길 수 있는 것이다. CCD를 전하결합소자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하나하나의 감광소자는 이를테면 눈의 시세포이며 CCD는 시신경이라고 할 수 있다.전기신호인 이 화상정보는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06
존재를 합리화시켜 주었지만 현재는 슈퍼컴퓨터가 이런 질문에 충실히 답해준다. 밀림이
훼손
되어감에 따라 차츰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량이 많아져 간다고 과학자들은 분석한다. 만일 이산화탄소량이 두배로 증가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 것인가.최근 과학자들이 추적한 이산화 탄소의 증가에 따른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05
소멸과 생태계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송도 영도지구의 토취장개발에 따른 자연
훼손
이 크게 우려된다는 것이다.그러나 지난해 10월 청와대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부처간 이견은 세부계획 및 사업실시단계에서 반영하기로 하고 인공섬건설계획은 부산시 원안대로 확정됐다.이에 대해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비무장지대를 꼽을 수 있습니다.분단 이후 비무장지대는 공업화, 인구집중 등이 없어
훼손
되지 않고 천연의 상태로 보존돼 왔습니다. 덕분에 강원도 고성군 고진동 지역의 산양 서식지 대성동에서 발견된 재두루미 두루미 월동지 등 멸종위기에 놓인 동물들의 보금자리가 비무장지대를 따라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01
따라서 50억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는 산업화의 진전은 불가피하며 이와동시에 환경
훼손
에 대한 복구작업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화와 환경보호 두가지의 '중용'을 지키는 것이 매우 어려우면서도 반드시 인류가 지켜나가야할 과제라고 리브는 말한다.공상과학소설에서 등장하는 인류의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11
몰락 이후 다시 베를린으로 되돌아오는 등 수난을 겪었다. 2차대전 중에 많은 부분이
훼손
되기도 했지만 1958년 서베를린시가 원상복구한 뒤 동베를린에 양도해 더욱 유명해졌다.「승리의 기둥」앞에서브란덴부르거토어에서 서베를린 쪽으로 내려오면 '승리의 기둥'이 있다. 전장 67m인 이 기념물은 1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9009
탐사의 작은 수확으로 꼽을 수 있다.일반인들의 출입을 제한하는 민통선 지역이라서
훼손
되지 않은 채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기는 했으나 산 곳곳으로 도로가 나고 또 포장작업이 한창인 것을 보면서 생태계 파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들렸다.연중 대부분 흐려 있거나 비가 온다는 이곳에서의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09
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사람입니다. 심지어는 보호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훼손
내지는 멸종까지 시키는 실정이 아닙니까. 대암산 대우산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런 형식적인 법보다 한두명이라도 감독 관리를 하는 실질적인 방법이 시급하다고 봅니다. 개느삼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