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d라이브러리
"
기둥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개구리는 언제 노래할까?◀ 개구리 노래소리를 조사한 맹산 습지.왼쪽 아래 회색
기둥
이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다.보통 개구리는 수컷만 노래해요. 가장 큰 이유는 짝짓기와 영역 행동 때문이지요. 우선 짝짓기를 할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노래해요. 멋진 노래를 이용해 암컷을 유혹하는 거지요.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나무 그늘로 들어오니 맴맴~ 우렁찬 합창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옆에 서 있는 나무
기둥
에는 매미 약충★ 한 마리가 숨을 돌리고 있다. 땅속에서 기나긴 어둠을 이기고 밖으로 나와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매미를 수학으로 들여다볼까?약충★ 번데기를 거치지 않고 성충이 되는 곤충의 유충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기초로 건물을 짓는 방법입니다. 실내 체육관이나 전시장을 지을 때는 종종 내부에
기둥
을 세우지 않고 벽에다 바로 지붕을 얹게 되는데, 이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예요. 그렇다면 굳이 삼각형 구조를 기초로 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날려서 내륙에 차곡차곡 쌓이는데, 그 결과 두꺼운 퇴적층이 생긴다. 이 과정은 암석
기둥
에 남아 있는 퇴적층의 층리에 잘 드러나 있다. 이후 이 퇴적층에 관목이 자라면서 뿌리를 내린다. 뿌리 주변의 토양에는 유기물질에 의해 주변보다 약간 단단한 부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침식이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밀도가 약 830배나 크기 때문에 한 번 움직일 때 그만큼 큰 힘이 작용해요. 커다란
기둥
이 바다 한가운데 있으면 계속 파도에 부딪혀 충격을 받게 되지요. 하지만 다리를 이용하면 다리를 제외한 플랫폼 아래가 비어 있기 때문에 파도가 플랫폼 아래를 자유롭게 통과하게 돼요. 이 덕분에 망망대해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지각이 재배치되는 과정이 한 번에 끝나지 않기 때문 이다. 나무
기둥
을 흔들면 연결된 나뭇가지들도 함께 흔들리는 원리와 유사하다.설상가상으로 네팔이 속한 땅은 히말라야 지역에 서도 지반이 가장 취약한 레서 히말라야다. 히말라야 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조상들이 한옥을 높게 지을 수 있었던 비결은 ‘체감 기법’이었다. 2층
기둥
을 1층
기둥
보다 약간 안쪽에 세우는 방법이다. 위로 갈수록 조금씩 좁아지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튼튼하고 보기에도 안정감이 느껴진다.확률로 구조를 지켜라이제는 현대식 공법을 활용해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광물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가장 먼저 만난 결정 모양이 육각
기둥
인 석영은 모양이 뚜렷하고 반짝일 경우 수정으로 분류한다. 그 다음으로 관찰한 방해석은 결정 모양이 특별하다며 권 관장이 직접 설명을 덧붙였다.“방해석은 결정 모양이 가장 다양한 광물이에요. ... ...
Part 3. 강함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가우디는 새 둥지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전까지 인간이 만들었던 건축물은 모두 땅에
기둥
을 세운 뒤 지붕을 얹는 방식이었다. 언뜻 견고해 보이지만 균형을 잃으면 중력에 의해 언제든 무너질 수 있는 디자인이다. 그는 베짜기새가 야자수에 지은 둥지가 중력에서 자유로운 ‘늘어뜨린’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석영은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진 광물이에요.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한 육각
기둥
모양의 결정을 만들지요. 하지만 불순물이 섞여 보라색이나 분홍색 같은 예쁜 색을 내기도 한답니다. 바위 수정은 이 석영이 특이할 정도로 크게, 그리고 투명하게 자란 거였어요.한편, 손톱보다 작은 광물도 눈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