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d라이브러리
"
기둥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나무 그늘로 들어오니 맴맴~ 우렁찬 합창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옆에 서 있는 나무
기둥
에는 매미 약충★ 한 마리가 숨을 돌리고 있다. 땅속에서 기나긴 어둠을 이기고 밖으로 나와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매미를 수학으로 들여다볼까?약충★ 번데기를 거치지 않고 성충이 되는 곤충의 유충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기초로 건물을 짓는 방법입니다. 실내 체육관이나 전시장을 지을 때는 종종 내부에
기둥
을 세우지 않고 벽에다 바로 지붕을 얹게 되는데, 이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예요. 그렇다면 굳이 삼각형 구조를 기초로 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조금씩 하늘로 올라온다. 태양이 떨어진 지평선 가까운 곳에서 여리디 여린 빛의
기둥
이 솟아난다. ‘황도광’이다.하늘을 가로지르는 은하수에 드문드문 암흑성운이 드러난다. 오른쪽 나무 사이에걸린 솜뭉치 같은 것은 대마젤란은하와 소마젤란은하이다. 황도광은 황도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밀도가 약 830배나 크기 때문에 한 번 움직일 때 그만큼 큰 힘이 작용해요. 커다란
기둥
이 바다 한가운데 있으면 계속 파도에 부딪혀 충격을 받게 되지요. 하지만 다리를 이용하면 다리를 제외한 플랫폼 아래가 비어 있기 때문에 파도가 플랫폼 아래를 자유롭게 통과하게 돼요. 이 덕분에 망망대해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날려서 내륙에 차곡차곡 쌓이는데, 그 결과 두꺼운 퇴적층이 생긴다. 이 과정은 암석
기둥
에 남아 있는 퇴적층의 층리에 잘 드러나 있다. 이후 이 퇴적층에 관목이 자라면서 뿌리를 내린다. 뿌리 주변의 토양에는 유기물질에 의해 주변보다 약간 단단한 부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침식이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광물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가장 먼저 만난 결정 모양이 육각
기둥
인 석영은 모양이 뚜렷하고 반짝일 경우 수정으로 분류한다. 그 다음으로 관찰한 방해석은 결정 모양이 특별하다며 권 관장이 직접 설명을 덧붙였다.“방해석은 결정 모양이 가장 다양한 광물이에요.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지각이 재배치되는 과정이 한 번에 끝나지 않기 때문 이다. 나무
기둥
을 흔들면 연결된 나뭇가지들도 함께 흔들리는 원리와 유사하다.설상가상으로 네팔이 속한 땅은 히말라야 지역에 서도 지반이 가장 취약한 레서 히말라야다. 히말라야 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조상들이 한옥을 높게 지을 수 있었던 비결은 ‘체감 기법’이었다. 2층
기둥
을 1층
기둥
보다 약간 안쪽에 세우는 방법이다. 위로 갈수록 조금씩 좁아지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튼튼하고 보기에도 안정감이 느껴진다.확률로 구조를 지켜라이제는 현대식 공법을 활용해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방향에서 힘을 받아도, 빈틈없이 메워진 삼각형이 서로를 지탱하며 무게를 나눠 갖는다.
기둥
없이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작은 겉넓이로 가장 큰 부피를 에워싸는 구 모양이라 경제적이기도 하다. 표면적이 작아 건축 재료가 적게 필요하고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열도 얼마 되지 않는다.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PLUS 참고).‘진공의 존재’도 토리첼리의 실험을 통해 확인됐다. 유리관에는 수은
기둥
으로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있다. 유리관을 세우기 전에는 수은으로 채워져 있던 부분이다. 공기나 다른 물질이 들어갈 수가 없다는 얘기다. 따라서 수은으로 채워지지 않은 이 공간은 말 그대로 ‘빈공간’, 즉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