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교수는 미지의 신대륙을 탐험하며 지도로 만드는 ‘21세기의 김정호’였다. 다만 탐험하고 있는 대상이 광활한 바다나 먼 우주가 아니다. 그는 세포가 만드는 다양한 단백질을 밝히고 그 특성을 상세히 기록한 ‘단백체(Proteome) 지도’를 만들고 있었다. 한국인을 위한 단백체 지도2003년 인류는 ... ...
- 코로나19로 바뀐 세상, 코로나19가 바꿀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발열 검사 및 손 위생을 철저히 한 덕분에 학교 내 전파는 드물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정 청장은 “해당 논문은 지난해 5월에서 7월 사이 지역사회 유행이 크지 않았던 때 등교 재개 후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라며 “2020년 하반기(7~12월), 특히 3차 유행 때는 학교에서도 일부 집단 ...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건가요?나이나 개인 정보는 철저히 비공개로 활동하고 있어 밝히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고등학교 시절 이과를 선택했고 당시 선생님에게 역설적인 질문들을 자주 했던 것 같습니다. 수학 선생님이 놓친 부분을 바로잡은 적도 있었어요. 수학 선생님은 제게 수학에 대한 관심을 살려서 그와 관련된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구름을 투과하고, 햇빛이 존재하지 않을 때도 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다. 다만 아직은 관측 정확도가 떨어진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부빙에 설치된 측정소와 원격 탐사 장비가 관측한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해빙과 눈이 마이크로파의 방출, 반사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 ...
-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닭을 살처분해야 합니다. 그나마 같은 농장에 살았다면 조금 덜 억울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실상은 더욱 가혹합니다. 이웃집 닭 한 마리가 고병원성 AI에 감염되면 생전 마주친 적도 없는 반경 3km 이내 인근 가금류까지도 살처분됩니다(예방적 살처분). 병에 걸렸을 확률이 있다는 이유에서지요.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쉽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는 문제도 있다. 다만 표현의 자유가 다른 모든 사회적 가치를 희생하면서까지 반드시 지켜야 할 절대적 가치는 아니다. 국제적으로 여러 국가가 자국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특정 종류의 혐오 표현에 대해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장벽에 반사돼 돌아오기만 하는 건 아닙니다. 파동은 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만 장벽을 거칠수록 파동의 높이, 즉 전자가 위치할 확률은 급격히 줄어듭니다. 하.지.만. 장벽의 두께가 충분히 얇다면, 그래서 파동이 다 사라지기 전에 장벽을 통과한다면?! 파동이 장벽을 넘어 계속 이어갈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삶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남방큰돌고래는 제주도 주변을 유영하며 살아간다. 다만 모든 공간을 동일하게 사용하지는 않는다. 어떤 장소는 그냥 지나가는 통로처럼 이용하기도 하고, 어떤 장소는 주로 먹이를 먹고 사회활동을 하기 위해 오랜 시간 머무르기도 한다. 그런 특정한 행동을 하는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경우 감염재생산지수를 0.4~0.7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난해 12월 말 보고서에서 밝혔다.다만 1.7배라는 수치는 다소 과장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영국 정부가 12월 28일 발표한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환자와 있던 접촉자 가운데 실제로 감염된 사람의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개씩 나눠 간격을 배치한다. 그러다 보니 아직 수중생태계 교란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다.다만 아직 전체 면적의 최대 몇 %까지 덮어도 괜찮은지는 모른다. 이 부연구위원은 “전 세계 어디서도 이를 검증해 본 적이 없다”라며 “국내에서도 조심스럽게 면적을 넓혀 보며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