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중"(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곤충을 식용으로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식용 곤충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없애는 인식 개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용 곤충 선정 결과 1등은 ‘쌍별귀뚜라미’전 세계에는 곤충이 약 130만 종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많은 곤충 중 밥상에 올라올 수 있는 ...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과학동아 l2020년 04호
- 10.1103/PhysRevD.101.035020그가 연구말고도 지난 40년간 꾸준히 해온 것이 하나 더 있다. 바로 대중과의 소통이다. 1977년에 펴낸 ‘최초의 3분’은 우주론 분야의 손꼽히는 고전이며, 미국 뉴욕시가 발행하는 서평 전문 잡지인 ‘뉴욕 리뷰 오브 북스’에도 오랫동안 우주와 물리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이 ... ...
- [에디터노트]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직접 보는 것만큼 효과적인 게 또 어디 있겠는가. 과학동아는 2015년부터 매년 7월 과학 대중강연 ‘사이언스 바캉스’를 개최해 독자들이 과학자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만들어 왔다. 과학적 영감을 위한 노력이었다.그리고 올해 3월 2일, 이번에는 중·고등학교 독자들만을 위한 새로운 ... ...
- 위아래로 접는다... 2ROUND 폴더블폰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필름층을 구겨지지 않게 구부리는 것이다. 갤럭시 폴드의 경우 투명 필름은 최근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 폴리이미드(CPI· Colorless Polyimide) 소재로 제작됐다. 그렇다 보니 접히는 부분에 미세한 자국이 남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갤럭시 Z 플립에는 울트라 씬 글라스(UTG·Ultra ...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특화된 데이터로 훈련시켰습니다. 하지만 버트는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의 대중적인 자료를 가지고 만든 모형이어서 학습량이 방대합니다. 덕분에 많은 자료로 학습시킨 버트 모형은 일정 부분만 변형해서 필요한 언어나 분야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뭐든 척척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를 겪으면서 바이러스에 대한 대중의 공포가 커졌고,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컴퓨터 바이러스보다 더 유명(?)해졌다.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이 역설적으로 바이러스 본연의 이름을 되찾아준 셈이다. 그리고 이번에는 코로나19(COVID-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
- “지구에서 화성을 탐사하는 즐거움 느껴보세요” 전인수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참여 의사를 밝혔다. 그는 “우주를 향해서 귀를 기울이고, 가슴을 열고, 눈빛을 빛내는 대중과의 만남은 특별하다”며 “NASA의 연구와 연구자로서의 삶에 대해 깊게 이야기 나누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 ...
- 우한에서 서울까지 47일의 기록...우한대 유학생의 우한 탈출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통한 탈출 계획도 모두 무산됐다. 중국 정부의 규제 수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대중교통은 물론 개인 소유의 승용차와 오토바이 운전까지 금지됐다. 우한 시내 도로 이동을 통제해 배달음식도 먹을 수 없다.집에 조리시설이 없는 나와 같은 유학생들은 직접 먹을거리를 찾아 나서야 했다. 다행히 ... ...
- 의사가 쓰고,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리는 본격 의학 웹툰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씨와 홍 씨가 골든아워로 의기투합하게 된 계기는 유튜브다. 이 씨는 유익한 의학 지식을 대중과 나누겠다는 생각으로 동료 의사 2명과 유튜브 채널 ‘닥터프렌즈(닥프)’를 운영하고 있다. 2017년 8월 개설한 뒤 현재 구독자만 약 55만 명에 이른다. 홍 씨도 닥터프렌즈의 구독자다. 이 씨는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떤 의미를 가지며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비전문가인 대중의 몫이라고 강조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학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가령 우주개발에 민간 자본이 투입되면 우주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주개발이 빚어낼 국가 간 마찰이나 불평등 문제는 없을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