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한반도의 얼룩개, 바둑이가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딸랑딸랑 딸~랑, 바둑이 방을 잘도 울린다~!안녕, 나는 일룩무늬가 특징인 개 '바둑이라고 해.방금 내가 부른 노래는 동요 의 한 구절이야. 바둑이는 노래뿐 아니라 조선시대 문헌과 그림에 자주 등장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살아온 토종개지. 바둑이는 일제 강점기 때 사라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언제부터 한반도에서 우리와 함께 살았을까요? 우리나라 토종개의 뿌리를 밝히다 건국대학교 박찬규 교수팀은 2019년부터 약 4년 반 동안 늑대, 아시아와 유럽의 개 등 200마리가 넘는 갯과 동물들의 유전자 정보를 비교해 분석했어요. 유전 정보를 담은 물질인 DNA는 부모에서 자식으로 세대가 바뀔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206배 더 무거워. 또, 두꺼운 콘크리트를 통과할 정도로 투과력이 세지. 6월 15일, 일본 도쿄대학교 지진연구소 다나카 히로유키 교수팀은 뮤온으로 지하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 입자로 위치를 파악한다고? 연구팀은 6층 건물의 옥상에 4개의 뮤온 검출기를 ... ...
- [DAY1 홍콩 이공대학교] 우주선의 눈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역할이 중요합니다. 카메라는 탐사선의 눈이 되어 주변 환경을 탐색해요. 홍콩 이공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카이릉 융 교수팀은 창어 4호의 카메라포인팅시스템(CPS)을 개발했습니다. 이 카메라의 겉에는 방사선을 반사하는 얇은 보호막이 씌워져 있습니다. 덕분에 창어 4호는 우주에서 높은 밀도의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개최됐어요. 지구사랑탐사대(지사탐) 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와 김예은 매니저는 2013년부터 10년간 꾸준히 어린이들과 함께해 온 시민과학 활동을 소개하기 위해 포스터를 붙이고, 토론 발표자로참여했습니다. 학술 대회에서는 전 세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초콜릿이 들어간 입안에서는 무슨 현상이 일어나는 걸까요? 지난 1월 12일 영국 리즈대학교 식품영양학부 안웨샤 사카르 교수팀은 초콜릿의 미끌미끌한 식감의 비밀을 연구해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3D프린터로 혀 모형을 만들었어요. 이후 돼지 위 점액을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친해지길 바라~! 분수나라와 소수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어느 먼 우주, 드넓은 원 모양의 세상에 ‘분수족’과 ‘소수족’이 살고 있었습니다. 두 민족은 세상을 절반으로 갈라 한쪽에 ‘분수나라’를, 반대쪽엔 ‘소수나라’를 세웠지요. 그러나 분수족과 소수족은 서로 문화가 달라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만나기만 하면 아웅다웅, 서로 으스대고 상대 ... ...
- [숫자로 보는 뉴스] 그림의 떡도 30번 보면 배불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뇌의 특정 부분이 음식을 먹을 때와 똑같이 활성화*되기 때문이에요.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연구팀은 1149명의 참가자를 두 팀으로 나눴어요. 한 팀에게는 주황색 초콜릿 사진을 30번 반복해서 보여줬고, 다른 한 팀에게는 같은 사진을 3번만 보여줬지요. 그런 다음, 각 팀에게 1~10개의 초콜릿 중 몇 ... ...
- [기획] 더워지고 밝아지는 도시, 하루살이 부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곤충으로, 하루살이가 있다는 건 강의 수질이 개선되었다는 증거”라고 밝혔습니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이동규 교수는 “낚시할 때 쓰는 미끼도 하루살이 유충을 본떠 만들 정도로 하루살이는 인기 있는 먹이”라며 “또 입이 퇴화해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4~5일 정도만 지나면 ... ...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물렸을 때 고통 지수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악명이 높답니다. 5월 23일,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샘 로빈슨 박사팀은 총알개미, 보석침개미 등에 물리면 통증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강렬하게 유지되는지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총알개미의 독 성분인 ‘포네라톡신’을 쥐의 감각 뉴런에 주입한 후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