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원"(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Scene 1 변호사 A의 사무실변호사 A 이쪽으로 앉으시죠. 채용 과정에서 부당한 일을 겪었다던데 어떤 일인가요?대학생 B 네, 변호사님. 다름 아니라 제가 이번에 OO 회사에 입사 지원을 했다가 서류심사에서 탈락하고 말았습니다. 상심하던 중에 OO 회사가 신입사원 채용에 인공지능(AI)을 도입했다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대학교 수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조 교수님은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수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수학을 가르치는 교수로 활동하다가 만 44세의 나이에 상담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해 석·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또 한국상담심리학회에서 상담심리사 1급 자격증을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보면, 아무래도 개학을 미루는 게 더 안전한 것으로 예측됩니다.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수리모델링을 활용해 지난해 3월에 개학 연기가 없었을 경우 19세 이하 코로나19 환자 수가 몇 명이었을지 예측했습니다. 그 결과 소아·청소년 환자 수는 1.75~2.39배 많았을 것이라고 밝혀 ...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평가한 뒤 부족한 증거는 처음부터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박태현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2심에서는 과학자들의 증거 해석 방식도 존중받아야 함을 주장해볼 수 있다”며 “이 같은 방식으로 전문가들의 진술을 다시 본다면 법원의 평가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그는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예다.단, 기술적 의미에서 AI의 편향(bias)은 조금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 최재식 KAIST AI대학원 교수는 “사회적·윤리적 이슈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사실관계를 예측하는 AI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도 AI 편향성에 포함된다”고 말했다.가령 공장의 폐쇄회로(CC)TV를 보고 사고 위험성을 예측하는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것이 ‘리더형’ 관리자의 특징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학원 생활을 했던지라 대학원생의 입장에서 공감하고 수평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강 교수의 장점이다. 김현준 연구원은 “신생 연구실인데다가 교수님이 젊다 보니, 마치 선배에게 배우는 것처럼 궁금한 부분을 편하게 지도받을 수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는 연구를 하는 행동생태학 연구실에 진학했다. 기다려지고 설레고, 신나고 재밌었다대학원은 중고등학교나 대학과 좀 달라서 알아서 정보를 찾아가며 공부할 것도 많았고, 야외조사 일정이나 계획도 스스로 준비해야 했다. 그런데 그게 너무 신나고 재밌었다. 석사과정에서는 귀뚜라미 소리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교수님은 1996년 서울대학교 수학부(현재 수리과학부)에서 학사학위를, 2년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어요. 이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고 사회학자의 길을 걷게 된 수리사회학자입니다. 수학으로 사회의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 강 교수님의 연구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정보보호법 등으로 확대되며 연구부정행위를 더욱 엄격하게 제재할 수 있게 됐다. 대학원, 연구소 등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윤리 교육도 점차 확대되는 중이다. 엄 교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연구윤리 과목을 정식 커리큘럼에 넣어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특별한 사명감 때문이 아니라, 그저 재밌어서 해온 것”이라고 말했다.정 교수는 KAIST 대학원 재직 시절 과학동아에 영화에 관한 기사를 쓰며 대중과의 소통을 시작했다. 이후 저서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열두 발자국’ 등을 냈고 다양한 방송과 강연에 참여하며 이름을 알렸다.최근엔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