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모습을 설명한다.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은 각각 다양한 관측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우주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에너지와 물질의 형태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로 ΛCDM을 적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 ‘SIBELIUS(시벨리우스)’를 활용해 빅뱅 이후 오늘날까지 우주 거대구조의 진화과정을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빅테크 기업이 이번에도 그 선두에 서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말했다. AI가 연산할
때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가격도 만만치 않다. 앞서 파라미터가 AI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요소라면, GPU는 생성 AI가 더 빠르게 연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GPU 시장은 현재 시스템반도체 설계기업인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이유는 세계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친환경 정책을 시행하기
때
문이다. 홍 본부장은 “EU에서는 오래전부터 6가 크롬 사용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6가 크롬 도금 규제가 국제사회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도금 약품은 물론 6가 크롬으로 도금된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말했다. 대학원은 일정 수준의 연구자가 되기 위해 수련 및 단련을 하러 가는 곳이기
때
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과정이 고통스럽지 않다면 그건 수련이나 단련이 아니”라고 말하는 작가는 “아무리 연구 환경이 좋더라도 힘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예비 고학력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놀라움은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그렇다면 원래 금이 와인색이고, 그걸 크게 만들었을
때
노란색이 되는 건 아닌가요?” 나준수 독자(서울 상경중 1학년)의 이어지는 질문은 더 큰 놀라움을 불러일으켰다. “철학적인 질문이네요.” 박 연구원은 빙그레 웃으며 “어떤 세상에 기준을 두고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올라 사회적 명예와 부를 갖춘 사람들이 범죄 따위를 저지를 일은 없다고 생각했기
때
문이다.“‘마더’의 보고서에 그런 사람들의 이름이 오르고 실제로 처벌받으면 어떻게 될까? 사회가 혼란스러워지겠지. ‘마더’의 존재 목적이 뭐야. 사회 질서 유지잖아. 그 목적에 반할 수는 없는 일이고.” ... ...
사랑은 변한다! 러브-어페어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척하거나 질투를 유발하는 것이다. 즉 로미오는 줄리엣을 위해 나쁜 남자도 되었다가,
때
로는 로맨틱한 남자도 되었다가 하는 일명 ‘밀당의 고수’가 되면 오랫동안 예쁜 사랑을 할 수 있다 ... ...
포장의 달인 소시지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그 내용이 조금 다르다. 만약 페예시 토트의 소시지 추측이 사실이라면 5차원 이상일
때
는 차원마다 소시지 모양과 벌집 모양을 나눠 계산할 필요도 없고, 거기에 사는 사람은 언제든 고민 없이 소시지 모양으로 선물을 포장하면 된다. 과연 이 추측은 사실일까? 1998년 독일 수학자 울리히 베트케와 ... ...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좌우된다. 크림 층의 두께는 잼 층보다 두꺼운데 그 이유는 잼의 밀도가 크림보다 높기
때
문이다. 따라서 잼을 크림보다 아래쪽에 놓지 않으면 잼이 흘러내려 손에 묻을 수 있으므로, 스콘 바로 위에는 잼을 발라야 한다. 수학적으로 가장 맛있는 피자 토핑의 양은? 바삭한 도우와 촉촉한 토마토 ...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선택한다. 2016년 호주 수학자 하리스 아지즈와 사이먼 멕켄지는 사람 수가 n명일
때
nn^n^n^n^n번 칼질하면 케이크를 공정하게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렇게 자르면 누가 케이크를 입에 대보기도 전에 케이크가 썩을 테니 그냥 좀 불공정해도 적당하게 잘라 먹는 것이 좋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